사람은 누구나 살아가면서 역경을 만나게 된다. 그 역경은 가족과의 사별일 수도 있고, 직장에서의 실패일 수도 있고, 관계에서의 단절일 수도 있다. 예고 없이 불쑥 우리 앞에 나타나는 역경은 이렇듯 하나로 정의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한데, 우리를 알게 모르게 고통에 빠뜨리고 무기력하게 만든다. 사람은 누구나 꿈꾸지 않을까. 역경이 없는 옵션 A의 삶을 말이다. 그러나 늘 옵션 A의 삶을 살아갈 수 없다는 것을 우리는 본능적으로 알고 있다. 그렇다면 옵션 B의 삶은 어떠해야 할까.
이 책은 페이스북 2인자로, 전 세계 여성들의 롤모델인 셰릴 샌드버그가 2년 전 휴가 중 느닷없는 남편의 죽음과 맞닥뜨린 뒤 옵션 B의 삶을 찾아가는 과정을 심리학자 애덤 그랜트와 함께 쓴 것이다. 셰릴과 애덤은 역경에 맞서 이를 극복하는 정신력, 즉 회복탄력성의 근육을 키워야 한다고 말한다. 구체적으로 모든 것을 자신의 잘못으로 돌리는 개인화, 상실이 삶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믿는 침투성, 그 여파가 영원히 지속될 것으로 생각하는 영속성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물론 저자들은 상실과 회복탄력성 문제를 개인의 삶에 국한하지 않는다. 집단따돌림, 자연재해, 성폭력, 실업 문제, 성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 난민 문제 등 우리 사회가 회복탄력성의 근육을 단련해야 할 일이 한둘이 아니다. 또 회복탄력성은 혼자가 아니라 친구나 직장 동료, 공동체와 사회 구조 등을 통해 함께 키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셰릴은 얼마 전 캘리포니아대학 졸업식 축사에서 말했다. “상실과 역경은 피할 수 없습니다. … 당신의 근간을 뒤흔드는 도전이 당신이 진정 누구인가를 증명할 것입니다. 성취뿐만 아니라 어떻게 극복했느냐가 당신을 규정할 것입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7-10-28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