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확 떼버리고 싶은 ‘띠지 과잉시대’

[김기중 기자의 책 골라주는 남자] 확 떼버리고 싶은 ‘띠지 과잉시대’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8-09-27 23:08
수정 2018-09-28 0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추석 연휴가 끝났습니다. 송편과 토란국, 각종 전을 그야말로 ‘처묵처묵’ 했더니 제 벨트 간격도 한 칸 늘었습니다. 가버린 연휴가 아쉽고, 늘어난 뱃살이 야속합니다.

책에도 벨트가 있습니다. 바로 ‘띠지’입니다. 저자 사진이 큼지막하게 박혀 있는 띠지, 상을 받았다는 띠지, 눈에 확 띄는 문구를 넣은 띠지가 눈에 들어옵니다. 마치 시위를 벌이는 것 같습니다. ‘어이! 나 읽어볼 만한 책이야. 날 골라봐. 후회하지 않을 거야.’

벨트 푼다고 바지가 흘러내리진 않습니다. 그렇지만 스타일은 구겨지죠. 그래서 띠지는 ‘계륵’입니다. 하자니 불편하고, 안 하자니 아쉬운. 책골남을 비롯한 독자 대부분이 띠지를 버릴 거냐 말 거냐 고민합니다. 띠지 때문에 책 읽기 불편합니다. 심지어 오래 놔두면 표지 윗부분과 띠지로 덮인 아랫부분 색깔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예전에는 띠지를 벗겨 놓았다가 다 읽으면 다시 씌워 놓기도 했습니다. 띠지에 적힌 홍보문구가 재밌으면 따로 보관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본 띄지 중에는 미야베 미유키 ‘삼귀’(북스피어) 띠지가 인상 깊었습니다. ‘늦었지만 미야베 미유키 데뷔 30주년을 축하합니다’라는 문구가 들어왔습니다. 데뷔 31주년인 작가를 천역덕스럽게 알리는 띠지에 무릎을 탁 쳤습니다. 띠지가 처음 시작된 곳은 프랑스라 합니다. 출간된 책이 공쿠르상이나 노벨상을 받으면 띠지를 만들어 홍보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러나 프랑스를 비롯한 외국 대부분이 요즘엔 띠지를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일본이 전 세계에서 띠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우리가 2위라 합니다.

띠지 과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간혹 책의 일부처럼 잘 어울리는 띠지, 적절한 포인트가 되는 띠지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런 띠지는 일부였고, 대부분이 마케팅 수단에 그쳤습니다. 띠지의 과한 홍보 탓에 책을 읽고 나서 실망하기도 했습니다. 이러 띠지는 과감하게 뺀 뒤 둥글게 공처럼 말아 휴지통에 3점슛을 날려버립니다. 띠지 하나에 100원, 200원 정도겠지만, 출판사들이 차라리 그만큼이라도 책값을 내려주길 바랍니다.

gjkim@seoul.co.kr

2018-09-28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