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모 반듯한 돌로 쌓아 올린 탑 절반이 그림자에 휩싸였다. 그 위로 둥근 달이 휘영청 떴다. 1380년 세월 품은 탑은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것일까.
백제 무왕은 639년 미륵삼존을 모실 미륵사를 창건한다. 백제 최대 사찰에 석탑이 함께 올랐다. 보물 11호라는 말이 무색하게 석탑은 절반가량 무너져내렸다. 문화재청이 19년 동안 해체·보수 공사를 한 끝에 지난 4월 30일 공개했다. 손묵광 사진작가는 공개 첫날 새벽에 탑을 찾아 이 사진을 찍었다.
손 작가는 전국 1000여기 석탑을 찾아 찍은 사진들 가운데 70기 탑을 추려 사진집 ‘탑’에 담았다. 전북 익산 미륵사지 석탑부터 조선 후기 산청 대원사 다층석탑까지 전국 대표 탑들이다. 배경을 누르고 탑을 부각시킨 흑백 사진에, 이달균 시조 시인이 탑을 찾아 쓴 시조를 보탰다. 시인은 미륵사지 석탑을 보고 “굳건한 존재를 두고/멸망을 논하지 말라”고 노래한다. 40년 이상 내공의 사진가와 시조 시인의 앙상블이 탑의 매력을 유감없이 보여 준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9-12-27 3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