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 달린 집, 숲속의 작은 집… 자연 속 ‘로망’을 짓다

바퀴 달린 집, 숲속의 작은 집… 자연 속 ‘로망’을 짓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1-06-10 20:30
수정 2021-06-11 01: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프 그리드 라이프/포스터 헌팅턴 지음/천세익 옮김/리스컴/248쪽/1만 6000원

이미지 확대
스티비 허드슨과 마가리타 프로코피예바의 ‘램블링 카라반’.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명소 빅서에서 촬영했다. 리스컴 제공
스티비 허드슨과 마가리타 프로코피예바의 ‘램블링 카라반’.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명소 빅서에서 촬영했다.
리스컴 제공
많은 이들이 자연 속의 삶을 갈망한다. 문명의 이기들을 덜 쓰며 자급자족하는 삶을 꿈꾸는 이들도 있다. ‘오프 그리드 라이프’는 이처럼 자연 가까이 머물며 독특하면서도 환경친화적인 집을 짓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이미지 확대
저자가 영향을 받은 이는 ‘아주 작은 집’의 저자 로이드 칸이다. 하지만 그가 주목받았던 2013년과 지금은 또 달라져 있다. 책은 통나무집, 천막집, 동굴집, 컨테이너, 나무집, 배 위의 집, 자동차집 등 온갖 종류의 집을 소개한다. 전기나 식수 등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오폐수 등은 또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등 세세한 부분까지 전하고 있다. 사진작가인 저자가 찍은 사진 250여장도 함께 실렸다. 일상을 벗어난 삶에 대한 ‘로망’을 활활 타오르게 할 만큼 멋진 장면들과 마주할 수 있다.

사실 책 내용 중엔 우리 현실과 맞지 않는 부분이 많다. 예컨대 한국에서 주거용 트리하우스를 짓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준공 검사를 비롯한 각종 법규들이 트리하우스를 극구 ‘만류’하는 쪽으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책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선물은 ‘영감’일 것이다. 영감은 현실을 자각하게 만든다. 무엇이 우리의 발목을 잡고 있는지 또 그것이 온당한 것인지에 대한 반성도 이끌어 낸다. 그러다 보면 변화도 생길 것이다. 물론 오랜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중요한 건 우리는 좀더 자유로워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책 맨 뒤엔 ‘차박’ 코너를 따로 실어 저자가 차량 개조 당시 겪었던 온갖 시행착오들을 적어 뒀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1-06-1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