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릿함 자아내는 밤거리 두 청춘… 20대 성장통과 삶에 스며든 죽음

아릿함 자아내는 밤거리 두 청춘… 20대 성장통과 삶에 스며든 죽음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2-05-12 20:12
수정 2022-05-13 04: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의 밤이 시작되는 곳/고요한 지음/나무옆의자/232쪽/1만 3000원

이미지 확대
밤 12시가 넘은 시각. 장례식장 아르바이트를 끝내고 나온 20대 남녀는 그 시간까지 불이 켜져 있던 맥도날드를 찾는다. 새벽 첫차가 올 때까지 맥도날드는 갈 곳 없는 사람들의 안식처가 된다. 하지만 맥도날드의 불빛은 이들이 정주하기엔 불안정하다. 두 청춘은 서울의 밤거리를 부유한다. 서대문, 광화문, 청계천, 종로 일대까지 이어진 밤 산책은 오토바이를 타고 동대문, 대학로, 다시 남산으로까지 확대된다. 이들의 밤은 오렌지처럼 경쾌하고 싱그럽지만 한편으론 쓸쓸하고 아릿한 감정을 자아낸다.

제18회 세계문학상 수상작인 ‘우리의 밤이 시작되는 곳’은 ‘육천 원과 만 원 사이를 오가다 장례식장까지’ 오게 된, 20대 청춘의 밤과 죽음을 대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린다. “죽음의 이미지가 압도하는 장례식장을 배경으로, 서울 밤의 시내를 풍경으로 세계를 스케치하는 이 소설은 청춘의 막막함과 외로움을 군더더기 없이 표현하는 가운데 여백의 미를 보여 준다”는 심사평처럼 소설은 청춘의 방황과 성장, 죽음의 의미를 깊지만 무겁지 않게 그려 낸다.

이 소설의 또 다른 매력은 삶 속에 스며 있는 죽음을 생각하게 한다는 점이다.

어릴 적 목조르기 게임을 하다가 자신이 누나를 죽였다고 생각하며 하얀 뱀의 환상을 보는 재호, 이른 나이에 은퇴하고 ‘아름다운 죽음을 준비하는 사람들’(아죽사) 모임을 운영하는 아버지, 죽음과 친숙해지고 덜 슬프기를 바라는 마음에 빨간색 양복을 입고 조문을 가고, 아죽사 멤버들에게 빨간 양복을 선물하는 일본인 히로시의 모습을 통해 죽음을 껴안는 자세를 가만히 들여다볼 기회를 얻는다.

장례식장을 둘러싼 하얀 벚꽃, 달빛을 받으며 날아오르는 오토바이, 청계천에서 인왕산으로 날아오르는 물고기,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 ‘밤을 지새우는 사람들’, 누군가 덜 슬프기를 바라는 마음에 입은 빨간 양복 등이 주는 선명한 이미지는 떠도는 청춘과 죽음으로 상처 입은 이들을 ‘쿨하게’ 보듬는다.

2022-05-1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