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사료 공개
이희호 여사 만나 ‘DJ 공적’ 칭송위안부 피해자들 보상에 뜻 모아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제공
지난 17일 별세한 무라야마 도미이치(왼쪽) 전 일본 총리가 1998년 12월 4일 청와대를 찾아 김대중(오른쪽) 전 대통령을 의례 방문(예방)했을 때 모습.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제공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제공
‘김대중 선생님의 가르침을 잊지 않겠습니다.’
지난 17일 별세한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일본 총리는 2014년 2월 13일 서울 마포구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을 찾았을 때 방명록에 이런 글을 남겼다. 무라야마 전 총리와 김대중 전 대통령은 1924년생으로 같은 나이지만 ‘선생’이라는 존칭으로 상대에 대한 경의를 표한 것이다.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은 무라야마 전 총리와 김 전 대통령, 이희호 여사가 교류하며 남긴 방명록과 사진 등 사료를 22일 공개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2014년 2월 김대중도서관 방문 당시 김 전 대통령의 부인인 이 여사와 만나 “정말 큰일을 많이 겪었다”며 김 전 대통령의 공적을 칭송했다. 이 여사와는 덕담을 주고받으면서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왜곡된 역사 인식을 바로잡고, 위안부 피해자에게 보상을 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기도 했다고 한다. 도서관은 이와 관련해 당시 무라야마 전 총리가 작성했던 방명록, 이를 작성하는 사진과 이 여사와의 환담 사진 등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자료에는 1994년 3월 6일 사회당 당수 시절의 무라야마 전 총리가 ‘김대중 납치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해 한일 양국 대표단을 만나는 사진, 1998년 12월 4일 무라야마 전 총리가 청와대를 찾아 김 전 대통령을 의례 방문(예방)하는 사진도 포함됐다.
김 전 대통령은 1995년 4월 12일 당시 총리였던 무라야마를 만나 ‘일본의 진정한 과거 청산을 위한 한일 양국의 공동 역사 연구’를 요구하기도 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1995년 8월, 제2차 세계대전 종전 50주년을 맞아 일본의 침략과 식민 지배를 사죄하는 이른바 ‘무라야마 담화’를 발표했다.
도서관 측은 “무라야마 전 총리는 일본의 과거사 반성을 통해 역사적 진실과 상호 이해에 기초한 진정한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해 노력한 양심적 정치인”이라며 “이번 사료 공개는 한일 양국의 화해와 이해를 위해 헌신한 김 전 대통령과 무라야마 전 총리의 정신을 되새기는 뜻깊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10-2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