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등 연사 모시기 경쟁…호킨스·플로리다 몸값 ‘껑충’
정부와 공공기관, 기업들이 너나없이 ‘창조경제 전문가’ 구인난을 호소하고 있다. 새 정부가 출범한 이후 각종 포럼과 행사마다 앞다퉈 ‘창조경제’ 간판을 달고 있지만, 정작 창조경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사람을 찾기 힘든 탓이다. 일부 해외 유명 연사를 놓고 국내 행사 주최 측 간에 과도한 몸값 경쟁이 벌어지는가 하면, 국내 연사들은 여러 행사에 겹치기 출연을 하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14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미래부는 다음 달 연말에 개최할 ‘창조경제 비전 선포식 및 국민보고대회’에 영국의 경영전략가인 존 호킨스 전 BOP컨설팅 대표를 기조연설자로 초청하기로 하고 막판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호킨스 전 대표는 2001년 자신의 저서인 ‘창조경제’에서 박근혜 정부의 경제기조인 ‘창조경제’를 처음으로 언급한 인물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국민들에게 창조경제의 로드맵과 명확한 비전을 보이는 자리인 만큼 저명 인사를 물색해왔지만, 창조경제라는 개념에 딱 떨어지는 인사가 마땅치 않았다”면서 “최초 주창자라는 측면에서 호킨스로 낙점했다”고 설명했다. 미래부는 호킨스 이외에 ‘창조지수’를 개발한 도시학자 리처드 플로리다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도 초청 대상 리스트에 올려놓고 있다. 플로리다 교수는 여러 차례 방한한 지한파라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은 미래부 이외에 국내 공공기관과 기업들의 구애도 한몸에 받고 있다.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지난달부터 호킨스를 행사 연사로 초청하기 위해 접촉해왔다”면서 “한 번 방한하면 올해는 또 초청하기가 쉽지 않은 만큼 다음 달에 꼭 성사시켜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국제행사 전문업체의 관계자는 “이미 두 사람의 몸값이 많이 뛰었다”면서 “초청료 걱정 말고 자기들 쪽에 먼저 오게만 해달라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귀띔했다.
국내 연사도 부족하기는 마찬가지다. 현재 국내에서 창조경제 전문가로 자타가 공인하는 사람은 정부 관계자를 제외하면 이민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정도에 불과하다. 이 교수는 매주 2~3차례씩 각종 행사의 연사로 등장하고 있다. 한 정부 출연 정책연구소 관계자는 “이 교수를 몇 번 봤는지 셀 수도 없는 상황”이라면서 “전문가가 없기도 없지만 행사 자체가 과도하게 많은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3-04-1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