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은 30일 진주의료원 폐업 강행을 이틀째 강도높게 성토하면서 홍준표 도지사가 새누리당 소속임을 들어 정부·여당의 ‘결자해지’를 요구했다. 특히 국정조사 카드까지 꺼내들고 정부와 여당을 압박했다.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날 고위정책회의에서 “새누리당은 소속 도지사의 폐업 강행을 강 건너 불구경하듯 해서는 안 된다”면서 국회차원의 국정조사를 요구한 뒤 “국정조사 실시를 이번 국회에서 꼭 관철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진주의료원 정상화와 공공의료 대책 특위위원장’인 김용익 의원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소집됐는데 여당이 응하지 않고 보건복지부 장관의 출석도 하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한다”면서 “새누리당은 무슨 이유로 홍 지사를 옹호하는가”라고 비난했다.
같은당 김성주 의원도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새누리당 소속이 아닌가. 당의 말을 안 들으면 출당시켜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그는 또 “(복지위에) 홍 지사와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의 출석을 요구한다”면서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홍 지사에 대한 청문회를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새누리당이 이번 폐업사태에 적극 개업해 진주의료원을 정상화시켜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경남도의회에 새누리당 소속 의원이 39명으로 절대 다수”라며 “새누리당이 진주의료원 폐업 조례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새누리당은 39명의 도의원에게 (진주의료원 폐업을 반대하는)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의 마음을 전달해야 한다”면서 “새누리당이 폐업을 막지 못하면 홍 지사가 폐업시킨 게 아니라 황 대표가 폐업시키는 셈”이라고 압박했다.
진보정당은 현 정부 책임론을 내세워 공격했다.
통합진보당 홍성규 대변인은 논평에서 “경남도의회 역시 새누리당이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서 진주의료원 폐업 조례가 통과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며 “애초부터 진주의료원 사태의 가장 중요한 열쇠는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진보정의당 노회찬 공동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홍 지사의 행태는 ‘생떼 행정’으로 박근혜정부가 직접 나서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날 고위정책회의에서 “새누리당은 소속 도지사의 폐업 강행을 강 건너 불구경하듯 해서는 안 된다”면서 국회차원의 국정조사를 요구한 뒤 “국정조사 실시를 이번 국회에서 꼭 관철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진주의료원 정상화와 공공의료 대책 특위위원장’인 김용익 의원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소집됐는데 여당이 응하지 않고 보건복지부 장관의 출석도 하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한다”면서 “새누리당은 무슨 이유로 홍 지사를 옹호하는가”라고 비난했다.
같은당 김성주 의원도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새누리당 소속이 아닌가. 당의 말을 안 들으면 출당시켜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그는 또 “(복지위에) 홍 지사와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의 출석을 요구한다”면서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홍 지사에 대한 청문회를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새누리당이 이번 폐업사태에 적극 개업해 진주의료원을 정상화시켜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경남도의회에 새누리당 소속 의원이 39명으로 절대 다수”라며 “새누리당이 진주의료원 폐업 조례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새누리당은 39명의 도의원에게 (진주의료원 폐업을 반대하는)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의 마음을 전달해야 한다”면서 “새누리당이 폐업을 막지 못하면 홍 지사가 폐업시킨 게 아니라 황 대표가 폐업시키는 셈”이라고 압박했다.
진보정당은 현 정부 책임론을 내세워 공격했다.
통합진보당 홍성규 대변인은 논평에서 “경남도의회 역시 새누리당이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서 진주의료원 폐업 조례가 통과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라며 “애초부터 진주의료원 사태의 가장 중요한 열쇠는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진보정의당 노회찬 공동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홍 지사의 행태는 ‘생떼 행정’으로 박근혜정부가 직접 나서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