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SNS 괴담 막아라”…TF 구성

새누리 “SNS 괴담 막아라”…TF 구성

입력 2013-12-22 00:00
수정 2013-12-22 09: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 주요 정책 당에 사전 보고도 추진

새누리당은 22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정부 정책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유통되면서 국정 운영에 불신이 확산한다고 판단,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특히 일각에서 정부의 철도·의료 관련 정책을 민영화로 보고 ‘지하철 요금 5천원’, ‘의료비 10배’ 등과 같은 주장이 급속도로 퍼지자 자칫 지난 2008년 광우병 사태와 같은 ‘민심 이반’ 현상이 발생할 것을 우려하며 대책 수립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 고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근거 없는 괴담이게 현재도 빠르게 번지고 있다”면서 “잘못된 정보의 무차별적인 확산을 막기 위해 TF(태스크포스)를 만들어 대응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도 지난 20일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뇌송송 구멍탁이라는 어처구니없는 괴담이 횡행했던 광우병 사태가 떠오른다”고 말한 것도 이런 움직임과 무관치 않다.

새누리당은 특히 트위터는 물론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등에서 급속도로 퍼지는 내용 중 잘못된 정보가 발견될 경우 관계 기관으로 하여금 즉각 해명하게 만드는 등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위해 중앙당의 디지털 분야에 인력과 투자를 강화함으로써 단순히 홈페이지 관리 수준을 넘어 이러한 ‘초동 대응’이 가능하게 하는 방안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 관계자는 “이명박정부 때는 청와대에 뉴미디어 비서관실을 통해 인터넷 여론을 전문적으로 살펴봤지만 지금은 어디에도 그런 기구가 없다”면서 “실시간으로 SNS의 여론을 확인해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는 별도로 효과적인 국정 홍보 차원에서 주요 정책을 추진하기에 앞서 관계 기관의 책임자가 당에 설명하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는 일부 부처 장·차관이 업무 이해도와 조직 장악력이 떨어져 최근 정부 정책을 둘러싼 일련의 논란을 가중시켰다는 문제 지적에 따른 것이다.

한편, 황우여 대표는 오는 26일 국회에서 당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젊은 층과의 소통을 위해 청년 대표단을 만나 일자리 창출, 대학 등록금 인하 등 청년 관심 분야에 대한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