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어 터진 국수론’에 “野 존중해야” 與에 11개 쟁점 법안 협상 전권 일임…최경환 “의료 민영화 부분 제외 가능”
박근혜 대통령 취임 2주년을 기점으로 청와대와 정부가 쥐고 있던 국정운영의 주도권이 빠른 속도로 여당으로 넘어가는 분위기다. 비선 실세 국정개입 의혹, 연말정산 세금 폭탄과 증세 논란 등 연이은 악재로 몸살을 앓았던 여권이 당을 구심점으로 소통을 강화하며 돌파구를 찾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손잡은 당·정·청
25일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당·정·청 정책조정협의회에서 참석자들이 손을 맞잡는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근면 인사혁신처장, 강석훈 새누리당 정책위부의장, 추경호 국무조정실장,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유승민 원내대표, 현정택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원유철 정책위의장, 조해진 원내수석부대표.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황우여 사회부총리는 회의를 마친 뒤 “당 중심으로 정책을 추진하자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국회가 중요하고 당이 국민과 가까우니 당 중심으로 해야 국민과 소통이 원활하다”고 말했다.
당·정·청은 이날 국정 현안들의 대략적인 추진 방향을 설정했다. 마찬가지로 당이 주도권을 쥐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유승민 원내대표의 요청에 따라 국회에 계류 중인 11개 경제활성화 법안 등 쟁점 법안 처리를 위한 협상 전권을 당에 일임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야당이 의료민영화법이라며 반대하고 있는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에 대해 “(의료 민영화와) 관련되는 것을 다 제외하고라도 통과시키고 싶다”면서 원안 수정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5-02-2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