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국회법 십자포화’ 뚫고 승부수 던질까

유승민, ‘국회법 십자포화’ 뚫고 승부수 던질까

입력 2015-06-02 11:56
수정 2015-06-02 1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입장 밝힐때 올 것”…당분간 ‘침묵모드’ 이어갈듯일관된 논리로 “위헌성 없다” 정면돌파 관측 거론돼

국회법 개정안 위헌 논란이 정치권을 강타하면서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대응이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박근혜 대통령이 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시사한 가운데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원내전략을 이끌었던 유 원내대표를 향해 ‘십자포화’를 퍼붓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새정치민주연합은 국회법 개정안의 ‘시행령 수정요구권’에 강제성이 있다며 당장 고쳐야 할 시행령 목록까지 열거, 유 원내대표를 더욱 곤란하게 만드는 상황이다.

진퇴양난의 처지에 놓인 유 원내대표는 일단 이 사안과 관련한 공개적인 언급을 되도록 삼가는 모습이다. 당분간 ‘침묵모드’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그는 2일 당 원내대책회의 주재 후 친박계 의원들의 비난 공세 등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드릴 말씀이 없다”고 답했다.

자신의 의사를 밝힐 경우 어떤 형태로든 청와대·친박계나 야당을 자극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논란의 한복판에 선 유 원내대표에게 폭우가 쏟아지는 가운데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시사로 ‘강수량’은 최고조에 달한 상황이다. 그런 만큼 피할 도리가 없는 비바람을 일단 온몸으로 견뎌보겠다는 뜻으로도 읽힌다.

유 원내대표는 다만, 때가 되면 침묵을 깨고 돌파구를 제시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그 문제(국회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나중에 입장을 밝힐 때가 올 것”이라며 “그때 가서 한꺼번에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당 안팎에선 소신을 쉽게 꺾지 않는 유 원내대표의 성품으로 미뤄 국회법 개정안에 위헌 소지가 없으며, 삼권분립에 위배되지도 않는다는 논리로 정면 돌파할 가능성이 가장 먼저 거론된다.

개정안의 시행령 수정요구권에 강제성이 없으며, 따라서 위헌으로도 볼 수 없다는 게 유 원내대표를 비롯한 원내지도부의 일관된 견해다.

당내에 ‘적군’만 있는 것은 아니다. 김무성 대표는 “이 문제에 대해서 의총에서 모든 정보를 공개했고, 최고위에서도 다 내용을 가지고 상의한 결과, 특수한 상황에서 벌어진 일”이라며 시행령 수정요구권에 강제성 있다는 새정치연합의 주장은 법 개정안의 위헌성을 자인하는 꼴이라고 비난의 화살을 야당에 돌렸다.

유 원내대표가 이런 논리를 바탕으로 새정치연합을 설득, 국회 차원에서 청와대에 한목소리로 대응하는 방안을 시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경우 박 대통령이 정치적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거부권을 행사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다만, 모든 사안에 대해 ‘주고받기’를 요구하는 야당 원내지도부의 최근 성향을 고려하면 설득이 쉽지만은 않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자칫 ‘또 야당에 내어줬다’는 비판에 직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유 원내대표가 청와대와 친박계의 의견을 전격적으로 받아들여 방향을 수정할 가능성도 거론한다.

그러나 이 경우 자신의 ‘판단 착오’를 인정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는 데다 정치적인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유 원내대표가 선뜻 꺼내 들기 어려운 카드로 받아들여진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