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불신임·친박계 책임론·野 사퇴요구 부담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협상책임자였던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향후 대응이 관심사로 떠올랐다.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는 그 자체로 이미 유 원내대표에 대한 ‘불신임’을 드러낸 것이어서, 유 원내대표가 국회법 개정안 처리와 본인의 거취 문제에 대해 어떤 ‘결단’을 내릴지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이날 국무회의에서 박 대통령은 유 원내대표에 대해 “여당의 원내 사령탑도 정부·여당의 경제살리기에 어떤 국회의 협조를 구했는지 의문”이라며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사실상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요구한 게 아니냐는 해석까지 나왔다.
이에 따라 대통령의 발언 수위를 보고 대응 방식을 결정하겠다던 당내 친박(친박근혜)계가 일제히 유 원내대표 공격에 나서는 것은 시간 문제로 보인다.
그동안 유 원내대표는 당내 일각에서 불거진 자신의 책임론은 물론이고 향후 국회법 개정안 처리 방향에 대해 말을 아껴왔다.
유 원내대표의 한 측근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유 원내대표가 주변에 이번 일과 관련해 아무런 이야기를 한 게 없다”며 “(거취 등의 문제는) 전적으로 유 원내대표의 결단에 달린 상황”이라고 말했다.
앞서 유 원내대표는 이달 초 박 대통령이 거부권 행사를 시사했을 당시 “그 문제에 대해서는 나중에 입장을 밝힐 때가 올 것이다. 그때 가서 한꺼번에 말씀드리겠다”라며 때가 되면 입장을 내놓을 것임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유 원내대표가 이르면 이날 오후 본회의 직전 소집한 의원총회에서 자신의 입장을 밝히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당장 친박(친박근혜)계 일각에서는 이번 일을 계기로 유 원내대표의 책임론을 공개적으로 제기할 태세다.
이들은 유 원내대표가 의총 결과를 토대로 국회법 개정안을 본회의에 상정조차 하지 않거나 상정 후 부결시키는 등 청와대의 희망대로 ‘뭉개는’ 결정을 내린다고 해도 책임을 피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 김무성 대표를 비롯해 비박계 인사들은 이번 일이 유 원내대표의 거취와 연결될 문제는 아니라고 선을 그으며 유 원내대표의 ‘면책론’을 주장해 왔다.
유 원내대표 주변에서도 ‘이번 일에 직을 걸어서는 안 되고 버텨야 한다’, ‘의원들이 뽑은 원내대표이기 때문에 의원들의 뜻을 따라야 한다’는 의견을 내세워왔다.
하지만 이날 예상보다 훨씬 수위가 높았던 박 대통령의 발언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 등 지도부는 물론이고 유 원내대표 본인으로서도 향후 대응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거취 문제와는 별도로 유 원내대표로서는 국회로 되돌아온 국회법 개정안의 처리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지가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현재로선 당내에선 본회의에 상정하지 않고 ‘자동 폐기’ 수순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목소리가 계파를 불문하고 대세를 이뤄가는 분위기다.
유 원내대표가 그동안 수 차례 “거부권 행사시 의원총회에서 의원들의 총의를 모아 결정하겠다”고 밝힌 만큼, 유 원내대표도 재의결을 밀어붙이기보다 당 의총 결과를 따를 것으로 보는 관측이 많다.
이 경우 김 대표와 비박계 인사들은 유 원내대표가 물러나서는 안된다는 여론을 형성하며 청와대와 친박계 설득에 나설 가능성도 있지만 이날 박 대통령의 발언 수위로 볼 때 과연 통하겠느냐는 의문은 남는다.
더욱이 당장 야당에서 법률안 거부권 행사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면서 유 원내대표를 협상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기류가 형성될 조짐도 보이고 있어 유 원내대표의 ‘선택지’를 더욱 좁게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