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권역별 비례제 받으면 의석배분 유연하게 할 용의”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31일 선거구획정 기준 마련과 관련, “양당 지도부가 먼저 시급하게 타결해야 할 선결과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도입”이라며 “권역별 비례대표제의 도입 여부가 먼저 결정돼야 선거구 획정 기준을 세울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고위원회의 발언하는 문재인 대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3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강조하는 발언 등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그러면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양당 대표가 직접 만나 선거제도 관련 문제를 일괄타결하는 방안을 언급한데 대해 ‘선(先) 권역별 비례대표 도입 결정-후(後) 선거구 획정 기준 마련’ 입장을 밝혔다.
이어 “새누리당은 중앙선관위가 제안한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해 더이상 애매모호한 태도를 보이지 말고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만 문 대표는 “선관위 제안대로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배분을 2대1로 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지만 의석 배분을 조금 다르게 할 수도 있다”며 “새누리당이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받아들인다면 의석배분 협상을 통해 유연하게 결정할 용의가 있다”고 유연한 입장을 보였다.
문 대표는 “의원정수를 늘리지 않고 지역구와 비례대표의 의석배분도 그대로 유지한채 헌법재판소의 인구편차 결정을 지키려면 농어촌 지역의 의석이 줄고 수도권 의석이 늘게 된다”고 지적했다.
문 대표는 “그렇다고 지역구 의석을 늘리고 그만큼 비례대표 의석을 줄여 의원 정수를 유지하는 것은 찬성하기 어렵다”면서 “지역구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선관위의 정치개혁 방향에 역행하는 방향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면 이러한 문제가 한꺼번에 해결된다. 지역에서 주는 지역구 의석을 권역별 비례대표로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표는 전날 경남 거제시에 위치한 대우조선해양을 방문한 사실을 거론, “조선업계의 위기가 정말 심각한 수준으로, 이명박정부의 정책실패와 낙하산 경영진의 무책임이 그 원인이지만 그렇다고 미래 성장동력인 해양벨트 산업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며 “포기해서는 안 되고, 해양플랜트 산업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