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00㎜ 방사포 실전배치 임박 vs 軍 천무·에이태킴스로 대응

北 300㎜ 방사포 실전배치 임박 vs 軍 천무·에이태킴스로 대응

입력 2015-10-11 11:54
수정 2015-10-11 16: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말 전구합동화력운용체계 전력화…육·해·공 입체 대응체계 갖춰

북한이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300㎜ 신형 방사포를 공개한 것은 이 무기의 실전 배치가 임박했음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미지 확대
북한 300mm 방사포 vs 천무.에이태킴스
북한 300mm 방사포 vs 천무.에이태킴스 북한이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300㎜ 신형 방사포(왼쪽)를 공개, 우리 군의 대응 무기로 방사포 발사 진지를 무력화할 차기 다연장로켓 (MLRS) 천무(가운데)가 꼽히고 있다. 또 천무의 사정권을 보완할 수 있는 에이태킴스(ATACMS.오른쪽)도 주목 받고 있다. 다연장로켓 발사기를 이용하는 단거리 탄도탄인 에이태킴스 블록1A의 사거리는 300㎞로, 300㎜ 방사포보다 훨씬 길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북한, 300mm 신형 방사포 공개
북한, 300mm 신형 방사포 공개 북한은 10일 오후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300㎜ 신형 방사포를 새로 공개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북한, 300mm 신형 방사포 공개
북한, 300mm 신형 방사포 공개 북한은 10일 오후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열린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300㎜ 신형 방사포를 새로 공개했다.
연합뉴스
수도권 이남 지역도 타격할 수 있는 이 무기의 실전 배치가 임박함에 따라 우리 군도 다각적인 대응 방안을 준비 중이다.

군 관계자는 11일 “북한이 어제 공개한 300㎜ 방사포는 중국제를 모방 생산한 것으로, 현재 개발 완료 단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그는 “300㎜ 방사포의 최대 사거리는 140㎞ 내외로 평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언론 등에는 300㎜ 방사포의 사거리가 200㎞를 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군 당국이 평가하는 사거리는 이보다 짧은 셈이다.

300㎜ 방사포의 사거리가 200㎞ 이상이라면 황해도 개성에서 쏠 경우 우리 육·해·공군본부가 있는 계룡대도 타격할 수 있지만 140㎞ 수준이라면 계룡대에는 못 미친다. 그러나 개성에서 100여㎞ 떨어진 평택 미군기지는 사정권에 들어간다.

300㎜ 방사포는 2013년 5월 북한이 동해상으로 시험 발사했을 때 한미 양국 군 당국에 의해 처음으로 식별됐다. 이후 북한은 성능 개량을 위한 시험 발사를 계속하며 사거리를 늘렸다.

북한이 작년 8월 14일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에 맞춰 동해상으로 발사한 발사체는 당초 알려진 것과는 달리 300㎜ 방사포가 아니라 KN-02 단거리 미사일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발사체는 당시 220여㎞를 날아가 300㎜ 방사포의 사거리가 200㎞ 이상이라는 관측을 낳았다.

북한의 기존 방사포는 107㎜, 122㎜, 240㎜의 3종으로, 240㎜ 방사포의 사거리는 최대 90㎞다. 북한이 300㎜ 방사포를 실전 배치하면 수도권 이남 지역에 대한 포격 능력까지 갖추게 된다.

북한은 300㎜ 방사포에 유도장치를 탑재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사실 여부는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다.

방사포는 미사일이 아니라 포탄이기 때문에 우리 군이 구축 중인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로는 요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북한이 300㎜ 방사포로 공격할 경우 우리 군의 대응 무기로는 방사포 발사 진지를 무력화할 차기 다연장로켓(MLRS) ‘천무’가 꼽힌다.

천무는 군이 2009∼2013년 1천314억원을 투입해 개발한 포병 주력 무기로, 지난 8월 초부터 육군 포병부대에 실전 배치됐다.

천무는 239㎜ 유도탄, 227㎜ 무유도탄, 130㎜ 무유도탄을 발사하며 이 가운데 227㎜ 무유도탄은 1기에 900여 발의 자탄이 들어있어 축구장 3배 면적을 단숨에 초토화하는 위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천무도 사거리가 80여㎞에 그쳐 300㎜ 방사포의 사정권 밖에서 이를 타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에이태킴스(ATACMS)가 주목을 받는다. 다연장로켓 발사기를 이용하는 단거리 탄도탄인 에이태킴스 블록1A의 사거리는 300㎞로, 300㎜ 방사포보다 훨씬 길다.

우리 군은 작년 말에는 북한이 방사포와 미사일 등으로 공격할 경우 지상·해상·공중 전력으로 동시에 타격하는 ‘전구합동화력운용체계’(JFOS-K)를 전력화했다.

이 시스템은 공중통제기(피스아이), 무인정찰기(UAV), 대포병레이더(TPQ), 전자전장비, 이지스 구축함 등으로 북한 방사포와 미사일 기지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탐지한다.

북한이 공격을 감행할 경우 지상의 다연장로켓과 에이태킴스, 탄도미사일인 현무Ⅱ(사정 300㎞)·현무Ⅲ(사정 1천㎞), 해상의 이지스함 SM-2 대공미사일(사정 148㎞), 공중의 F-15K 전투기 합동정밀직격탄(JDAM)으로 입체적 대응을 하도록 돼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