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부 “이달 21일 일괄사퇴”…비대위원장 인선 안되면 늦어져
친박계 이인제·김태호 등 거론…비박계선 “김무성이 맡아야” 의견도비대위원장 선출 시기 절차 놓고도 양 계파 입장 엇갈려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의 정면충돌로 극심한 내홍에 빠진 새누리당이 비상체제 전환을 놓고 진통을 겪고 있다.
‘최순실 사태’와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새누리당은 이정현 대표의 지도부를 지속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다.
이 대표도 이를 인정하고 오는 21일 물러나겠다는 입장이다. 최고위원들 역시 이 대표와 함께 사퇴하자는 원칙에 뜻을 모았다고 조원진 최고위원이 15일 밝혔다.
조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 회의가 열리는 국회 당 대표실 앞에서 기자들에게 “제가 여러분을 이 자리에서 볼 날이 얼마 안 남은 듯하다”고 말했다.
8·9 전당대회로 선출된 지도부가 해체되면 비상대책위원회가 그 역할을 대체한다. 4개월여 만에 다시 비대위가 들어서는 것이다.
비대위를 꾸리려면 먼저 전국위원회를 소집해 비대위원장을 선임하고, 비대위원장이 비대위원들을 구성해 상임전국위원회의 의결을 받아야 한다.
문제는 비대위원장 추천이다. 현 지도부는 이 대표가 비대위원장 후보를 지명하고 전국위까지 소집하는 게 ‘마지막 책무’라고 강조하고 있다.
친박계에선 최고위원 출신의 김태호·이인제 전 의원이나 박관용 전 국회의장을 비대위원장으로 선호하는 분위기다.
이들 가운데 한 인사는 최근 비박계 의원들에 전화를 걸어 “앞으로 잘 해보자”며 협조를 당부했다는 후문이다.
비박계가 이런 절차에 동의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한 비박계 의원은 “당을 망친 사람이 자기 손으로 후임을 앉히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윤리위원회 ‘꼼수 인선’으로 현 지도부에 대한 신뢰는 땅에 떨어졌다는 게 비박계의 판단이다. 당 사무처 직원들도 이런 판단에 동조하고 나섰다.
따라서 지도부가 즉각 사퇴하고 오는 16일 선출되는 신임 원내대표가 대표 권한대행으로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비대위원장을 선임하는 게 적절하다는 입장이다.
4·13 총선 직후 지도부가 와해했을 때도 ‘원유철 대표 권한대행(당시 원내대표)→정진석 신임 원내대표→김희옥 비대위원장’으로 ‘법통’이 계승됐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친박계와 비박계의 중진들이 비대위원장을 합의 추대하는 게 진통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비박계 인사는 “한때 친박계가 ‘김무성 비대위원장’ 카드를 고려했던 것으로 안다”며 “김 전 대표가 대선 불출마를 선언한 만큼 심판으로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탈당 가능성을 시사하며 친박계에 “대통령의 정치적 노예”라고까지 한 김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는 데 친박계가 응할 가능성 역시 작다.
결국 비대위원장 선임을 놓고 친박계와 비박계는 또 한바탕 부딪힐 것으로 관측된다.
비대위원장 선임이 지연되면 현 친박계 지도부의 사퇴 시기도 늦어질 수 있으며, 연말·연초에 비박계의 집단 탈당·분당이라는 파국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