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울릉도 사동항 개발 타당성 재요청계획”
독도에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우리 해군함정이 동해안 해군기지에서 독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일본보다 1시간 이상 늦어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국회 국방위원회 정미경(한나라당) 의원은 18일 평택 2함대의 독도함에서 진행된 해군본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유사시 우리 해군함정이 경북 울진 죽변항이나 동해항에서 출발해 독도에 가장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은 각각 4시간1분,4시간26분”이라며 “이에 비해 일본 함정은 오키섬에서 출동하면 독도까지 2시간50분,시네마현 에토모항에서 출항하면 3시간18분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독도 해역에서 무력 충돌이 발생할 경우 우리는 일본 함정이 도착한 뒤 한 시간이 넘어서야 독도에 나타나는 셈”이라며 “울릉도에 해군 전진기지를 건설하면 1시간35분 이내에 대응이 가능한 만큼 국방부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토해양부 자료에 따르면 울릉도 사동항 2차 개발사업에 국토해양부 사업비로 5천t급 대형함정이 접안할 수 있는 시설(방파제 등)을 건설토록 정부 차원에서 협의 중이지만,기획재정부는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경제성이 없다는 판단에 따라 사동항 개발을 국가안보 차원에서 국방부 또는 방위사업청이 사업을 추진토록 권고했다.
정 의원은 “해군은 사업대기 상태에서 국토부의 통지를 기다리고 있지만 효율적인 해양주권 수호 차원에서 해군기지 건설의 필요성을 국토부에 강력하게 건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성찬 해군총장은 “기획재정부에서 국방부의 안보사업으로 추진하라는 권고를 했지만 국방부에서 3천200억원의 사업비를 조달하기는 어렵다”며 “다만,방파제에 경비행장을 설치할 경우 민수까지 할 수 있어 타당성이 있다고 보기 때문에 내년에 예비 타당성을 다시 요청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사동항 개발은 해양전략적으로 중요하고 해군으로서는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고 본다”며 “다시 한번 건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평택=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