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주요 현안들 돌파구 찾을까
한·일 정상의 수교 50주년 행사 교차 참석과 외교장관의 4년 만의 일본 방문 등을 계기로 연내 한·일 정상회담이 가시화되고 있다. 또 한·일 관계 개선의 걸림돌들에 대한 해법도 가닥을 잡아나가고 있다.
초미의 관심사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윤 장관은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다. 방향성을 갖게 됐다”며 말을 아꼈지만 한·일 당국자 간의 물밑 협상이 진행 중임을 강조했다. 윤 장관이 간담회를 시작하면서 “이번 방문은 어려운 현안들을 지혜롭게 해결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일본 측은 한국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및 관련 단체들과 어떤 공감대를 만들어 나갈지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일 정부 간 합의가 이뤄지더라도 한국 내 당사자와 관련 시민단체가 반발하면 무의미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손에 잡히지는 않지만 의미 있는 진전을 위한 물밑 작업에 속도가 붙고 있음이 확실해 보인다.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 윤 장관은 올 하반기 한국 측이 주최하는 한국·중국·일본 3국 정상회담에 힘을 쏟고 있다고 말하면서 “비교적 합리적인 시일에 개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걸림돌이 모두 해결되지 않는다고 해도 올해 한·일 정상회담 개최는 가시화되고 있다. 군 위안부 문제 해결이 정상회담의 선결 조건이냐는 질문에 대해선 모호한 입장으로 대했다. 협상을 위해 여지를 남기겠다는 태도로 해석된다.
아베 총리의 종전 70주년 담화에 반성과 사죄가 담길지를 묻는 질문에 윤 장관은 “전날 기시다 후미오 외상과의 회담에서 미래지향적인 내용이 왜 필요하고 일본에도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충분히 설명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날 두 나라의 각종 현안과 사안이 국민 간 오해와 불신으로 확대되지 않도록 염두에 두겠다고 말했다. 또 사안별 갈등의 확대, 확산을 조심하는 등 전과 달리 한·일 관계를 관리해 나갈 것임을 확실히 했다. 한편 윤 장관은 북한 문제와 관련, 주변국들도 올해 북한의 도발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한·미·일 공조를 강화하면서 중국과 러시아 등을 참여시켜 북한 문제 관리에도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5-06-2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