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선 “중국거쳐 귀국… 경로 단축”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방러 일정 중 하이라이트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이 끝남에 따라 김 위원장의 귀국길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선 그가 중국을 거쳐 귀국할지 여부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이 러시아횡단철도(TSR)에서 중국 만주횡단철도(TMR) 노선으로 열차를 갈아타 중국을 거쳐 귀국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중국 루트를 이용하면 귀국길이 1500㎞ 정도 짧아지기 때문이다. 이 경우 러시아의 소도시 티타 근방에서 방향을 틀어 중국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중국 측과 사전 협의가 있어야 하고, 러시아 방문 성과를 흐릴 수 있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 당국자는 “2007년 모스크바에 갔을 때도 TMR을 이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지만, 시베리아횡단철도를 이용해 돌아왔다.”고 말했다. 온 길을 그대로 되짚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이보다는 주말쯤 귀국길에 블라디보스토크 가스관 점화식에 참석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중국을 거치는 경로보다는 하바롭스크~블라디보스토크 루트를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관심은 이 점화식에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가 참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는 점이다. 김 위원장과 푸틴 총리의 면담이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정부 당국자는 “김정일은 푸틴과 과거 세 차례 만난 데다 푸틴이 내년 대선을 앞두고 영향력을 발휘하려고 하기 때문에 면담 성사 가능성이 아주 낮지는 않은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김정일이 모스크바에 가지 않는 한 푸틴과의 면담 가능성은 낮다.”고 지적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 교수는 “김정일은 만나고 싶어 하겠지만 수도가 아닌 지방에서 총리와 대통령을 둘 다 만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1-08-2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