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의 환경 “침출수 퇴비, 누가 쓰겠는가?”

이만의 환경 “침출수 퇴비, 누가 쓰겠는가?”

입력 2011-02-19 00:00
수정 2011-02-19 18: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만의 환경부장관은 19일 구제역 침출수 처리와 관련해 “수의과학적 차원에서 (침출수에) 특수바이러스가 없다면 충분히 톱밥을 섞어 소각장에 보내는 방안을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과 호법면 구제역 매몰현장을 방문해 이같이 말했다.

 이 장관은 “침출수를 퇴비화하면 누가 쓰겠는가”며 “정운천 전 장관의 제안(고열멸균 후 퇴비화)은 국민 정서나 축산업 발전,국가 이미지 차원에서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침출수는 오염도가 높아 하수처리에 부하가 심하다”며 “그러니 톱밥을 섞어 소각처리해볼 만 하다”고 덧붙였다.

 이천시 호법면 안평리에는 2008년 11월 5개 시군이 공동 건립한 하루 300t 처리용량의 소각장(광역자원회수시설)이 있다.

 이 장관은 또 구제역 바이러스가 “공기를 통해 전염되는 쪽으로 결론이 났다”고 언급했다.

 소관부서가 아닌데 공기전염을 언급한 배경을 묻자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이 (구제역 전염경로를) 논의할 때 결국 공기전염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고 해 나도 동의했었다”면서 “현장을 둘러보니 (발생지와) 가까운 거리에도 차단되는데 먼 수십 ㎞ 떨어진 곳까지 확산되는 것을 보면 개연성이 있는 것 같더라”고 설명했다.

 그는 공기전염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바람의 방향과 전파 경로에 주목했다.

 그러면서 “자체 방역을 강화하고 기존 축산(방식)을 개선하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의견 수렴하고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천시의 매몰 실태 및 관리에 대해 “호흡 때 바이러스 분출 우려가 있어 서둘러 매몰하는 과정에서 (매몰지) 비닐이 찢어져 침출수가 유출될 것으로 예상했는데,이천시는 다른 데보다 훨씬 관리를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천시 전체 사육 돼지 37만2천546마리 중 98.8%에 해당하는 36만7천938마리가 매몰처분됐지만,초기부터 매몰 구덩이 바닥에 2중 비닐(현행 지침) 이외에 쓰레기매립장 용 차수막 매트 또는 비닐 천막을 한 겹 더 깔아 침출수 방지대책을 세웠다고 이천시 이상목 환경보호과장은 설명했다.

 이 장관은 한 농장주가 “모돈 1마리에서 발생했는데 모돈만 350마리,자돈까지 4천500마리를 매몰했다.매몰이 능사가 아니지 않느냐”고 하자 “어차피 이렇게 된 것 잘 극복하시고 평소 축산 관리에 애써달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