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날 잊었다…요즘 젊은이들 ‘빵점’

어버이날 잊었다…요즘 젊은이들 ‘빵점’

입력 2011-05-06 00:00
수정 2011-05-06 08: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식이 어려야 카네이션이라도 받지…강아지가 내 딸”

“어버이날이요? 잊고 산 지 오래됐어요. 자식들이 어렸을 때에만 카네이션을 받아 봤지 지금은 얼굴 보기도 어려워요.”

어버이날인 5월 8일을 사흘 앞둔 5일 오후 화창한 봄 날씨에 서울의 주요 공원과 쉼터, 복지관 등에서 만난 60~70대 노인들은 ‘어버이날’은 자신과 전혀 관계없는 단순한 휴일이라고 담담하게 말했다.

오히려 최장 6일의 긴 연휴를 즐기려는 자녀에게 방해되지 않으려고 주말에 일부러 친구들 모임에 가거나 혼자 공원 등에서 산책하겠다는 노인들이 꽤 많았다.

서울 중구 장충동 공원에서 만난 김모(60.여)씨는 “아들이 어렸을 때 빼고는 카네이션을 받아 본 적이 없는 것 같다”며 “자식들이 주말 여행을 가려는 것 같은데 같이 살아서 그런지 별로 서운하지는 않다”고 애써 웃음을 보였다.

김씨는 “이번 주 토요일에 동창 모임이 있다고 해서 대전에 내려갔다가 올라올 예정”이라고 전했다.

어버이날에도 이 공원에서 시간을 보낼 것 같다는 이모(64)씨는 자녀에 대한 아쉬움을 털어놨다.

이름 밝히기를 꺼린 그는 “자식들이 이번 주말에 온다고는 했는데 실제 올지 안 올지 모르겠다”며 “오늘은 날씨도 좋고 해서 친구들과 막걸리 한잔하러 나왔다. 적적할 때 일주일에 3∼4번씩 공원에 나온다”고 했다.

서로 잘 아는 사이가 아니더라도 장충동 공원은 혼자 오게 되면 비슷한 처지인 사람끼리 어색하지 않게 대화를 주고받으며 시간을 보낼 수 있다고 이씨는 말했다.

서울 신당동에 산다는 김모(64)씨는 “주말에 자식들이 식사를 같이 하자는데 그냥 귀찮아서 친구들 모임에 나가려고 생각 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자식들이 함께 나들이를 하자고 했지만 나까지 합류하면 더 복잡해지고 해서 그냥 혼자 좀 쉬겠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어버이날’이 오히려 자녀를 성가시게 할까 부담스럽다는 얘기가 많았다.

서울 효창공원에서 친구들과 떡을 나눠 먹던 박모(72.여)씨는 “어버이날은 어린이들이 있는 가정에서나 의미가 있는 날이지 나 자신은 잊고 산지 오래됐다”며 “경기도에 있는 아들 한 명과 연락을 거의 못 하고 지낸다”고 했다.

벤치에서 김치와 깍두기를 안주 삼아 친구 3명과 함께 소주를 나눠 마시던 김모(68)씨는 “같이 늙어가는 술친구가 더 좋다”며 “아들 세 명 모두 성격이 무뚝뚝해 무슨 일이 있을 때나 전화하지 평소엔 연락을 잘 안 한다”고 서운해했다.

강아지 두 마리를 데리고 혼자 산책을 나온 오모(76)씨는 “딸 세 명에게서 가끔 연락이 오지만 직접 본 것은 작년 여름쯤 되는 것 같다”며 “딸들이 반찬가게 등 다 일을 하고 있고 바빠서 얼굴 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강아지들이 딸 노릇을 한다”며 한동안 강아지를 쓰다듬더니 “내 생일인 3월에도 연락이 잘 안 됐다. 어버이날에도 자식들이 바쁘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연락이 없어도 괜찮다”고 했다.

한쪽 다리가 불편한 정모(68.여)씨는 “강원도에 사는 아들 내외가 용돈을 보내 주지만 얼굴 못 본 지 삼 년이 지났고 농사짓는 딸은 명절 때도 보기 어려울 정도”라며 “빨리 몸이 나아져 예전처럼 자식들과 손자들 보러 다니고 싶다”고 말했다.

서울 구로구의 한 복지기관 인근 공원에서 장기나 바둑을 두거나 이를 지켜보던 50대∼70대 노인 10여 명은 ‘어버이날’엔 다들 비슷한 처지에 있다고 말했다.

정모(59)씨는 “혼자 살기 때문에 어버이날이라고 특별한 일이 없다. 올해 어버이날에도 여기에 와서 장기나 바둑을 두고 놀 것”이라며 “딸들이 가장 보고 싶은데 최근 7∼8년간 못 본 것 같다”고 했다.

서울 송파구의 한 요양원에서 생활하는 신모(80)씨는 “요즘 사람들, 특히 배운 사람일수록 부모 봉양을 잘 안 하려고 한다”며 “요즘 사람들이 부모에 대하는 태도는 아주 ‘빵점’”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