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서울지역 미군기지 주변 지하수를 검사한 결과 고엽제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29일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7∼8일 메이포스트 등 미군기지 10곳 인근의 지하수 관정에서 채취한 시료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검사한 결과 고엽제의 주성분인 ‘2,4-D’ ‘2,4,5-T’와 부산물인 다이옥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검사는 고엽제 성분 외에 다이아지논, 파라티온, 페트트로티온, 벤젠 등 다른 농약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을 대상으로도 이뤄졌다.
그러나 서울역미군사무소 인근의 관정에서만 트리클로로에틸렌이 환경부가 정한 먹는물 수질 기준치인 0.03㎎/ℓ보다 낮은 0.027㎎/ℓ 검출되는 데 그쳤다.
나머지 9곳은 검사 대상 성분 19가지 모두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서울에는 모두 12곳의 미군시설이 있지만 이중 남산 옆 통신기지와 한남동의 휴양소는 고엽제가 묻혔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판단돼 검사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미군 기지 내부를 검사하지 못했고 고엽제 성분이 어떤 이유로든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어 이번 검사에서 고엽제 성분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서울지역에 고엽제가 묻히지 않았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7∼8일 메이포스트 등 미군기지 10곳 인근의 지하수 관정에서 채취한 시료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검사한 결과 고엽제의 주성분인 ‘2,4-D’ ‘2,4,5-T’와 부산물인 다이옥신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검사는 고엽제 성분 외에 다이아지논, 파라티온, 페트트로티온, 벤젠 등 다른 농약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을 대상으로도 이뤄졌다.
그러나 서울역미군사무소 인근의 관정에서만 트리클로로에틸렌이 환경부가 정한 먹는물 수질 기준치인 0.03㎎/ℓ보다 낮은 0.027㎎/ℓ 검출되는 데 그쳤다.
나머지 9곳은 검사 대상 성분 19가지 모두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서울에는 모두 12곳의 미군시설이 있지만 이중 남산 옆 통신기지와 한남동의 휴양소는 고엽제가 묻혔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판단돼 검사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미군 기지 내부를 검사하지 못했고 고엽제 성분이 어떤 이유로든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어 이번 검사에서 고엽제 성분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서울지역에 고엽제가 묻히지 않았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