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낙청·박원순·문용린·김상곤·이부영 등 참석
5·18 민주화운동 33년을 기념하는 서울행사가 18일 오전 서울광장에서 열렸다.5·18 민중항쟁 서울기념사업회 주최로 열린 이날 서울기념식은 헌화와 분향, 기념사·추모사 낭독, 제9회 서울 청소년대회 시상식, 주먹밥 나눔마당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행사에는 박석무 5·18 서울행사위원장을 비롯해 박원순 서울시장, 문용린 서울시 교육감,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 최완근 서울지방보훈청장, 이부영 전 국회의원,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등이 참석했다.
박원순 시장은 기념사에서 “5·18 민주화 운동은 조국 민주화를 위해 광주 시민이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없이 뜨겁게 바친 애국심의 표출이었다”라며 “세계에 자유·정의·민주주의를 이렇게 쌓았노라 말할 수 있는 건 5·18 덕분임을 국민은 기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장은 추모사에서 “영령들의 절규를 지켜 드리지 못해 치욕과 울분과 부끄러움으로 이 자리에 섰다”며 “영령들의 명복을 비는 ‘임의 위한 행진곡’조차 빼앗길 위기에 놓였고, 5·18에 북한 특수부대가 개입했다고 역사를 왜곡하는 파렴치한 언론도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런 행태는 전 세계가 분노하는 일본 극우파의 행태를 연상시키는데 정작 우리는 우리 모습을 못 보고 있다”며 “일본처럼 한국도 군국주의 시대로 회귀하려는 역사의 불장난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은’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사업회는 악보 원본을 최초로 공개, 행사 참석자들에게 악보가 그려진 손수건을 나눠줬다.
기념식장에는 희생자를 추모하는 추모단이 설치돼 시민의 헌화와 분향을 받았고, 5·18 당시 사진과 문학작품, 청소년대회 수상작들이 전시됐다.
이날 오후 4시 마포구 서교동 롤링홀에서는 사업회 주최로 5·18 기념공연 ‘동행’이 열린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