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현장 수학여행 실태는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로 경기 안산 단원고 학생들이 대거 희생을 당한 가운데 수학여행에 대한 안전장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7월 사설 해병대 캠프에 참가했던 공주사대부고 학생 5명이 목숨을 잃은 이후 교육부가 수학여행 매뉴얼을 강화했지만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대부분 여행사를 통해 패키지 상품으로 가는 수학여행의 특성상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교육부는 지난 2월 일선 학교들에 ‘수학여행·수련활동 등 현장체험학습 운영 매뉴얼’을 보냈다. 기존에도 수학여행과 관련된 매뉴얼이 있었지만 지난해 공주사대부고 사고 이후 한층 강화된 것이다. 매뉴얼에는 ‘교육 과정과 연계한 계획적인 소규모·테마형 수학여행을 실시할 것을 권장한다’고 돼 있다. 하지만 325명이 단체로 수학여행길에 나선 단원고처럼 대부분 학교가 대규모 수학여행을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안전이 제대로 보장되지 않은 여행상품을 이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부 매뉴얼에는 수학여행과 체험활동 모두 청소년활동진흥원이 인증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토록 돼 있다. 하지만 ‘일회성 단순 체험(관광, 관람, 견학, 강의, 참가 등)’은 예외로 규정하고 있다. 수학여행을 관광상품으로 선택하면 매뉴얼에서 예외가 되는 셈이다. 한편 교육부는 사고 직후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각급 학교 현장체험학습의 안전 상황을 재점검하고 안전에 우려가 있을 경우 취소하라”고 지시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4-04-1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