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선 세월호 운항·수색 일지

여객선 세월호 운항·수색 일지

입력 2014-04-21 00:00
수정 2014-04-2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 4월15일 오후 9시 인천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승객 및 승무원 476명 탑승 출항.

▲ 16일 오전 8시49분 세월호, 급격한 변침으로 좌현부터 침몰시작.

▲ 오전 8시52분 전남소방본부, 선박이상 신고 접수.

▲ 오전 8시55분 세월호, 제주 해상교통관제센터와 교신.

▲ 오전 8시58분 목포해경,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북쪽 20km 해상에서 세월호 침수중 신고 접수.

▲ 오전 9시7분 세월호, 진도 해상교통관제센터와 교신.

▲ 오전 9시25분 진도 해상교통관제센터, 세월호에 탈출 지시.

▲ 오전 9시30분 출동헬기·소방해경·해군· 선박 등, 침몰 중인 세월호에서 승객 구조 시작. (※선장과 일부 승무원 승객 버리고 먼저 탈출, 구조됨)

▲ 오전 9시37분 세월호, “좌현으로 탈출한 사람만 탈출시도” 진도 해상교통관제센터에 보고

▲ 오전 9시37분59초 세월호, 진도 해상교통관제센터와 교신 끊김. ·

▲ 오전 11시15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구조인원 161명·첫 사망자 승선원 1명 집계.

▲ 오전 11시18분 세월호 선수 일부분만 남기고 사실상 선체 완전 침몰.

▲ 오후 2시 단원고 학생 첫 사망. 중대본, 구조인원 368명 잘못 발표.

▲ 오후 5시 실종자 구조작업을 위해 잠수부 선체로 투입. 중대본, 구조자 164여명·실종자 293명·사망자 2명 발표.

▲ 오후 5시~6시 육·해·공군 전력 총동원 구조작전. 해군 함정 28척 투입. 美 상륙강습함 ‘본험리처드함’ 급파. 공군 수송기 2대·구조헬기 급파. 육군 특전사·의무인력 파견.

▲ 17일 오전 0시30분 해경 특공대 및 해군 잠수부 조명탄을 쏘며 정조 시간에 맞춰 밤샘 수색작업 진행.

▲ 오전 1시 중대본, 전체 승선자 475명·구조자 179명·실종자 290명·사망 6명 발표.

▲ 오전 9시 잠수부 555명으로 증원. 선체내 확인총력. 해양크레인선 3척 수배.

▲ 오전 9시30분 수사본부, 사고 원인을 ‘무리한 변침’으로 잠정 결론.

▲ 오후 9시30분 중대본, 179명 구조·278명 실종·사망 18명 발표.

▲ 18일 오전 3시~10시 사고현장에 해양크레인선 3척 도착.

▲ 오전 6시20분 경기도교육청, 단원고 학생 325명 중 11명 사망·교사 14명 중 3명 사망·실종 247명 발표.

▲ 오전 10시45분 선체 안으로 공기 주입 시작.

▲ 오전 11시~ 군(軍) 현장구조지원본부, 리프트 백(공기주머니) 설치하고 잠수사를 ‘릴레이식’으로 투입.

▲ 오후 3시38분 구조대, 선체 2층 화물칸 문을 열고 진입했으나 화물에 막혀 14분 만에 철수.

▲ 오후 10시 범부처사고대책본부, 승선자 총 476명·구조자 174명으로 정정.

▲ 19일 오전 5시50분 4층 유리창 통해 사망자 3명 확인. 시신 유실막기 위해 사고 해역 주변에 그물망 설치.

▲ 오후 3시 탑승자 476명 중 사망 29명·실종 273명·구조 174명.

▲ 오후 3시30분 선체 실종자 구조작업 재시도.

▲ 오후 5시 선체에 3개의 가이드 라인 설치해 선내진입 시도.

▲ 오후 11시50분 격실 내에서 단원고생 시신 3구 수습.

▲ 4월20일 오전 7시25분 격실 내에서 시신 10구 수습.

▲ 오전 10시 범부처사고대책본부, 시신을 수습한 공식 사망자 수 49명 발표.

▲ 낮 12시9분 선체 내 진입 루트가 5곳 개척된 상태. 수색팀 선내 진입 재시도.

▲ 오후 1시30분 격실 내에서 시신 2구 발견. 사망자 52명으로 늘어.

▲ 오후 5시44분 사망자 58명으로 증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