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제대로 정착하지 못한 지하철 내 임산부 배려석의 활성화를 위해 해당 디자인을 눈에 띄게 개선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서울 지하철 임산부배려석 디자인 확 바뀐다 서울시는 지하철 내 임산부 배려석의 활성화를 위해 해당 디자인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시는 이용객 누구나 임산부 배려석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임산부배려존(zone)임을 알리는 스티커를 부착한다. 엠블럼도 눈에 띄도록 전체를 분홍색으로 통일하고 ‘내일의 주인공을 맞이하는 핑크카펫’, ‘서울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이라는 문구를 삽입한다. 임산부를 상징하는 픽토그램(그림문자)도 넣는다. 서울시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 지하철 임산부배려석 디자인 확 바뀐다
서울시는 지하철 내 임산부 배려석의 활성화를 위해 해당 디자인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시는 이용객 누구나 임산부 배려석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임산부배려존(zone)임을 알리는 스티커를 부착한다. 엠블럼도 눈에 띄도록 전체를 분홍색으로 통일하고 ‘내일의 주인공을 맞이하는 핑크카펫’, ‘서울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이라는 문구를 삽입한다. 임산부를 상징하는 픽토그램(그림문자)도 넣는다. 서울시 제공
시는 1∼8호선 전동차 내 중앙좌석의 양끝 2석을 임산부 배려석으로 운영하고 있다. 기존 임산부 배려석에는 ‘임산부먼저’라고 쓰인 엠블럼이 붙어 있다.
그러나 엠블럼을 좌석 뒤쪽 벽면에 붙여 옆문으로 승차할 경우 엠블럼이 보이지 않아 그대로 앉는 사례가 많고, 성인이 임산부 배려석에 앉으면 가려져 임산부배려석인지 알기도 어렵다고 시는 설명했다.
또 임산부 배려석은 노약자석과는 다르게 인식되는데다, 팔걸이가 있는 편한 좌석인 탓에 주변 빈자리 여부와 관계없이 우선 착석하는 경우도 많다.
시는 육안으로 임신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초기 임신부는 자리 양보를 먼저 요구하기 어렵고, 임신부 배지를 스스로 착용하는 문화도 덜 정착돼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에 시는 올해부터 차례로 새로운 임산부 배려석 디자인을 도입하기로 했다.
시는 우선 이용객 누구나 임산부 배려석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임산부배려존(zone)임을 알리는 스티커를 부착한다.
엠블럼도 눈에 띄도록 전체를 분홍색으로 통일하고 ‘내일의 주인공을 맞이하는 핑크카펫’, ‘서울 지하철 임산부 배려석’이라는 문구를 삽입한다. 임산부를 상징하는 픽토그램(그림문자)도 넣는다.
시는 1단계로 올해 2·5호선 전동차 975량에 새로운 임산부 배려석 1천950석을 설치할 계획이다.
윤종장 서울시 교통기획관은 “오는 9월께 시민 만족도 조사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디자인 확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