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10명중 6명 50대이상…”중장년 여성 주의해야”

대상포진 10명중 6명 50대이상…”중장년 여성 주의해야”

입력 2015-09-29 12:04
수정 2015-09-29 12: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대상포진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 10명 중 6명은 5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여성 환자는 남성보다 1.6배 더 많아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2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대상포진(질병코드 B02) 질환 건강보험 지급 분석결과를 보면, 2009년 45만명이었던 대상포진 환자는 2014년 64만명으로 늘었다. 연평균 7.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진료비도 2009년 884억원에서 2014년 1천258억원으로 늘어 매년 평균 7.3%씩 증가했다.

작년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25.6%, 60대 18.5%, 70대 12.7% 등으로 60.9%가 50대 이상이었다. 특히 50대 이상 환자의 비중은 남성(56.9%)보다 여성(63.5%)에게서 더 높았다.

성별로는 2014년을 기준으로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1.6배 많았다.

대상포진은 어렸을 때 앓았던 수두 바이러스가 없어지지 않고 특정 신경 속에 있다가 몸이 약해지거나 면역력이 떨어질 때 다시 활동하는 질병이다. 피부에 띠 모양으로 발진, 수포가 생기며 극심한 통증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강연승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마취통증의학과) 교수는 “몸이 약해지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진 환자나 심하게 피곤한 사람에게서 대상포진이 잘 생긴다”고 말했다.

발병 후 피부에 생긴 물집 등은 대부분 2~4주가 지나 흉터나 색소 침착을 남기고 낫는다. 그러나 통증은 점점 심해져 예리하고 찌르는 듯한 느낌이 들고 시간이 지나면서 옷깃만 스쳐도 아플 수 있다.

대상포진이 의심된다면 병원을 찾아 발병 초기부터 피부 증상에 대한 약물치료와 통증 치료를 함께해 대상포진이 신경통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

규칙적인 운동, 생활습관 등으로 면역력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 극심한 스트레스나 체력저하, 과로, 만성피로 등을 피하고 예방 백신을 접종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강 교수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발생하면 치료가 잘 안 되며 심한 통증으로 잠을 잘 수 없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며 “통증 치료를 빨리 시작할수록 효과가 좋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