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공개> 박원순 시장 -7억원…채무 더 증가

<재산공개> 박원순 시장 -7억원…채무 더 증가

입력 2016-03-25 10:03
수정 2016-03-25 10: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성중기 시의원 131억원으로 최고 재산가

박원순 서울시장의 재산이 -7억원으로 5년째 주요 공직자 가운데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다.

25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와 서울시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고위 공직자 재산변동 신고 내용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박 시장 재산은 -6억 8천629만원으로 1년간 136만원 감소했다.

박 시장 재산은 2011년 -3억 1천56만원에서 2012년 -5억 9천474만원, 2013년 -6억 8천601만원으로 매년 줄었다. 2014년에는 -6억 8천493만원을 기록해 소폭 증가했으나 지난해 다시 재산이 감소했다.

박 시장은 채무가 7억 9천292만원으로 837만원 증가했다. 법률 비용 등으로 인해 사인간 채무가 1천만원 늘어난 탓이다.

고향인 경남 창녕군 토지 가액이 5천467만원으로 512만원 올랐고, 자녀들을 포함한 가족 은행예금은 4천581만원으로 289만원 늘었다.

박 시장은 지난해 저작권으로 1천134만원의 소득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류경기 행정1부시장은 14억 1천303만원, 이제원 행정2부시장은 2억 5천700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각각 1억 3천746만원과 417만원 증가했다.

박래학 서울시의장은 12억 3천812만원으로 3천만원 늘었다.

서울 구청장 중에는 김영종 종로구청장이 74억 5천654만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다.

서울시의회 성중기 의원(131억 7천536만원), 이복근 의원(126억 8천191만원), 이종필 의원(86억 8천993만원)은 전국에서도 상위권이었다.

구의회에서는 김용철 강동구의원이 119억 8천537만원으로 최대다. 구의장 중에는 김명옥 강남구의장이 32억 229만원으로 가장 많다.

김인제 시의원은 가족을 고지대상자로 추가하며 재산이 23억 8천823만원 증가해 전국에서 재산 증가 폭이 두번째로 컸다. 이종필 시의원은 11억 1천149만원, 우미경 시의원은 10억 6천110만원 늘었다.

반면 이신혜 시의원은 모친 재산 고지거부로 10억 4천192만원 감소했다.

이번 재산 공개 대상은 박 시장 등 시장단과 1급 이상 간부, 시의원, 서울시립대 총장, 구청장 등 142명과 14개 공직유관단체장, 25개 자치구의원 413명 등이다.

재산공개 내역은 서울시 홈페이지 서울시보와 대한민국 전자관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