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공개> 박원순 시장 -7억원…채무 더 증가

<재산공개> 박원순 시장 -7억원…채무 더 증가

입력 2016-03-25 10:03
수정 2016-03-25 10: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성중기 시의원 131억원으로 최고 재산가

박원순 서울시장의 재산이 -7억원으로 5년째 주요 공직자 가운데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다.

25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와 서울시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고위 공직자 재산변동 신고 내용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박 시장 재산은 -6억 8천629만원으로 1년간 136만원 감소했다.

박 시장 재산은 2011년 -3억 1천56만원에서 2012년 -5억 9천474만원, 2013년 -6억 8천601만원으로 매년 줄었다. 2014년에는 -6억 8천493만원을 기록해 소폭 증가했으나 지난해 다시 재산이 감소했다.

박 시장은 채무가 7억 9천292만원으로 837만원 증가했다. 법률 비용 등으로 인해 사인간 채무가 1천만원 늘어난 탓이다.

고향인 경남 창녕군 토지 가액이 5천467만원으로 512만원 올랐고, 자녀들을 포함한 가족 은행예금은 4천581만원으로 289만원 늘었다.

박 시장은 지난해 저작권으로 1천134만원의 소득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류경기 행정1부시장은 14억 1천303만원, 이제원 행정2부시장은 2억 5천700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각각 1억 3천746만원과 417만원 증가했다.

박래학 서울시의장은 12억 3천812만원으로 3천만원 늘었다.

서울 구청장 중에는 김영종 종로구청장이 74억 5천654만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다.

서울시의회 성중기 의원(131억 7천536만원), 이복근 의원(126억 8천191만원), 이종필 의원(86억 8천993만원)은 전국에서도 상위권이었다.

구의회에서는 김용철 강동구의원이 119억 8천537만원으로 최대다. 구의장 중에는 김명옥 강남구의장이 32억 229만원으로 가장 많다.

김인제 시의원은 가족을 고지대상자로 추가하며 재산이 23억 8천823만원 증가해 전국에서 재산 증가 폭이 두번째로 컸다. 이종필 시의원은 11억 1천149만원, 우미경 시의원은 10억 6천110만원 늘었다.

반면 이신혜 시의원은 모친 재산 고지거부로 10억 4천192만원 감소했다.

이번 재산 공개 대상은 박 시장 등 시장단과 1급 이상 간부, 시의원, 서울시립대 총장, 구청장 등 142명과 14개 공직유관단체장, 25개 자치구의원 413명 등이다.

재산공개 내역은 서울시 홈페이지 서울시보와 대한민국 전자관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시흥동 1005번지(중앙하이츠) 모아주택 통합심의 통과”

최기찬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금천2)이 서울시가 제17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위원회에서 ‘금천구 시흥3동 1005번지 일대 모아주택’ 사업시행계획안을 통과시킨 것을 환영했다. 그간 노후 건축물이 밀집되어 있으면서도 구릉지형으로 인해 도시정비가 어려웠던 시흥동 지역이 이번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재생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금천구 시흥3동 1005번지 일대 모아주택은 ▲7개 동 473세대(임대주택 95세대 포함) 공급 ▲2030년 준공 예정 ▲용적률 완화로 사업성 강화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단순한 건축이 아닌 종합적 주거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된다. 호암산 조망을 고려한 동서 방향 통경축 확보로 열린 도시경관을 조성하고, 아치형 스카이라인으로 도시미관을 향상시키는 한편, 태양광패널(BIPV) 적용으로 친환경 입면을 특화한다. 도로도 넓어진다. 대지 내 공지 활용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보행공간을 조성하고, 구릉지 레벨차를 활용한 접근성 높은 보행로를 설계한다. 단지 중앙 마당을 통한 주민 활동 및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한다. 시흥대로 36길변에 근린생활시설을 설치하고, 개방형 공동이용시설(스터디 카페) 운
thumbnail - 최기찬 서울시의원 “금천구 시흥동 1005번지(중앙하이츠) 모아주택 통합심의 통과”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