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이행실적 점검 결과 발표… TV조선 161건 적발 3년째 1위
콘텐츠 투자계획 실행 1곳도 없어… “가결산 자료 새달 재승인 때 반영”TV조선, JTBC 등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정부의 재승인 심사가 다음달로 다가온 가운데 지난해 업체들의 오보·막말·편파 방송이 2011년 종편 출범 이후 최고 수준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투자 계획을 이행한 곳은 한 곳도 없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7일 전체회의를 열고 종편 4사에 대한 지난해 이행실적 점검 결과를 밝혔다. 4곳 모두 지난해 오보·막말·편파 방송이 역대 가장 많았다. TV조선은 적발 건수가 2014년 95건, 2015년 127건에 이어 지난해 161건을 기록하며 업계 최다를 기록했다. 채널A는 지난해 74건(2014년 54건, 2015년 67건), JTBC는 29건(2014년 16건, 2015년 7건), MBN은 27건(2014년 18건, 2015년 13건)이었다.
당초 약속했던 콘텐츠 투자 계획 이행률은 채널A 88.6%, TV조선 88.0%, MBN 72.1%, JTBC 63.8%로 나타났다. 고삼석 방통위 상임위원은 “광고 수익으로 500억원 넘게 벌어들이는 종편이 가장 중요한 콘텐츠 투자를 모두 미이행했다”며 “나머지 돈을 어디에 쓰고 있는지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재홍 방통위 부위원장은 “2014년 2월 재승인 심사에서 모든 종편에 공통적으로 사회적 책무와 공정성을 높이라는 조건부 승인을 했지만, 오보·막말·편파 방송 등으로 인한 심의 조치는 도리어 역주행하고 있다”며 “총점을 아무리 잘 받아도 공정성, 프로그램에 대한 편성 등에서 과락이라면 재승인을 해서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종편 재승인 심사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들 방송사에 대한 별도의 행정처분을 하지 않고 가결산 자료를 다음달 재승인 심사에 반영할 계획이다.
한편 다음달 이뤄질 TV조선, JTBC, 채널A 등 종편 3사와 연합뉴스TV, YTN 등 보도채널에 대한 재승인 심사에서 업체들은 ‘방송평가위원회의 방송 평가’, ‘방송의 공적 책임과 공정성’, ‘프로그램의 기획·편성·제작 및 공익성’, ‘경영·재정·기술적 능력’, ‘방송 발전을 위한 역할과 법령 준수’ 등 5개 항목에서 총 1000점 만점에 650점 이상을 얻어야 한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7-02-08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