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학부모·교사 90% 이상 “현 대입제도 너무 복잡해요”

학생·학부모·교사 90% 이상 “현 대입제도 너무 복잡해요”

입력 2017-02-08 10:54
수정 2017-02-08 1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교육걱정없는세상·유은혜의원 2만4천912명 설문“학생부종합전형 ‘비교과 활동’ 준비할 것 너무 많다”

수험생과 학부모, 교사들 대다수가 현행 대입제도가 복잡하다고 호소했으며,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경우 준비할 영역이 너무 많아 부담을 느낀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교육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과 더불어민주당 유은혜 의원은 작년 9∼10월 전국 고교 2학년 학생과 학부모, 진로진학 담당 교사 2만4천912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정부의 대입 간소화 정책이 무색하게도 응답자 대다수는 현행 대입제도를 복잡하게 느꼈다. 전체 학생의 93.8%, 학부모 96.6%, 교사 96%가 대입제도가 ‘매우 복잡하다’ 또는 ‘복잡하다’라고 답했다.

수시 학생부종합전형(학종)에 대해서는 준비할 영역이 너무 많고, 특히 전형 요소 가운데 비교과 활동 준비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종 전형의 가장 큰 문제점을 묻는 질문에 학생(71.7%)과 학부모(72.1%), 교사(72.2%) 모두가 준비할 영역이 너무 많다‘는 답을 꼽았다.

대부분의 응답자(학생 86.7%·학부모 85.3%·교사 92.5%)가 비교과활동에 준비부담을 호소했는데 소논문·R&E, 교내대회, 인증시험 순으로 부담을 느꼈다.

학종 전형에서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반영 요소로는 외부스펙과 교사추천서, 수능최저학력 기준 순으로 나타났다. 수능 최저 학력기준이 필요하지 않은 전형은 학생(36.3%)과 학부모(30.1%)·교사(36.1%) 모두 학종을 꼽았다.

특기자전형(수학·과학·어학)을 준비하는 학생이 가장 많은 학교는 과학고와 영재고였으며, 다음으로 외고와 국제고가 많았다.

사걱세는 특기자전형이 지원자가 특정 학교에서 몰리고 학교 교육과정으로 대비할 수 없는 전형 요소가 많다며 폐지할 것을 촉구했다.

논술전형에 대한 시각도 회의적이었다.

논술전형이 종합적 사고력을 평가한다는 취지에 부합하느냐는 질문에 학생 42.8%, 학부모 54.1%, 교사 34.8%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논술전형을 준비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논술에 특기나 적성이 있어서가 아닌, ’내신 성적이 안좋아 다른 전형을 쓰기 힘들어서‘라는 답변이 학생(32%)과 학부모(33.9%) 응답중 가장 많았다.

수능 모의고사 성적 상위 10% 학생 비율은 외고·국제고의 경우 36.6%로, 일반고(8.7%)의 4.2배 가량이었다.

양측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토론회를 열어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현행 대입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안을 논의했다.

이들은 현행 대입제도의 단기적인 개선방안으로 불필요한 전형요소 제외를 중심으로 한 학종 전형 개선, 특기자전형(수학·과학·어학) 폐지, 선행교육 규제법에 근거한 논술 등 대학별고사 관리, 학교의 수업과 평가 혁신을 제시했다.

이 단체는 “학생들의 입시 준비 고통을 덜기 위해 수시 학종 전형의 비교과 영역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며 “학부모 개입과 사교육을 유발하는 소논문과 R&E(연구·교육), 교내 경시대회, 인증시험을 반영하지 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