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안전점검 뒤 과태료 등 처분율 낮은 곳 중 사망자 증가하기도 국토부 “사망자 수 변화에 지자체 역할 커 적극적으로 나서 줘야”
올해 9월까지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전국적으로 8.5% 감소한 가운데 광주가 40.7%로 가장 많이 줄고, 울산은 32.6%로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7일 경찰청과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교통사고 현황에 따르면 올 1~9월 전국 교통사고 사망자는 2773명이다. 전년 같은 기간(3031명)보다 258명(8.5%) 감소했다.
이미지 확대
자료 이미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자료 이미지
지방자치단체별로 따져 보면 경기가 493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295명), 충남(267명), 전남(250명), 경남(228명), 서울(222명) 등 순으로 집계됐다. 광주(86명→51명,-40.7%), 강원(180명→142명,-21.1%)이 감소폭이 컸다. 반면 울산(46명→61명, 32.6%), 대전(53명→63명, 18.9%)은 증가폭이 컸다.
보행자 사고 사망자는 1163명에서 1052명으로 111명(9.5%) 줄었다. 지자체별로는 경기(199명), 서울(142명), 경남(99명), 충남(88명), 경북(78명), 전남(68명) 순이었다. 광주(52명→30명,-42.3%), 강원(50명→31명,-38.0%), 충북(62명→42명,-32.3%)이 많이 줄었으며 경남(79명→99명, 25.3%), 대전(29명→36명, 24.1%)이 많이 늘었다.
올해 상반기 운수업체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특별교통안전점검 이후 과태료 부과 등 처분율이 100%였던 광주, 강원은 교통사고 사망자가 크게 줄은 반면, 처분율이 낮은 지자체 중 울산(33.3%), 인천(53.8%), 대전(58.8%) 등은 사망자가 늘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자체 노력에 따라 교통사고 사망자 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지자체가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 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