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연료 연탄이 ‘금탄’…가격 인상 막아주세요”

“서민연료 연탄이 ‘금탄’…가격 인상 막아주세요”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1-23 14:21
수정 2019-01-23 14: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백사마을 주민 등 에너지 빈곤층 청와대 앞 호소

이미지 확대
‘금탄’된 연탄, 가격 인상 막아주세요
‘금탄’된 연탄, 가격 인상 막아주세요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연탄은행 전국협의회 주최로 열린 연탄 가격 인상 대책 요구 기자회견에서 실제 연탄을 이용해 겨울을 나고 있는 어르신들이 정부의 대책을 요구하며 모형 연탄을 던지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2019.1.23
연합뉴스
“서민의 연료 연탄이 ‘금(金)탄’이 되었습니다. 계속되는 연탄 가격 인상을 막아주세요.”

밥상공동체 연탄은행은 23일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연탄 가격 인상 동결을 정부에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서울 노원구 백사마을 주민들과 전국 각지의 에너지 빈곤층 가정 주민들이 참여했다.

김영수(83) 할아버지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추위를 견디기 위해 한밤중 자다가도 연탄을 가는 등 힘들게 하루하루를 연명하고 살아가는 연탄 사용 어르신과 에너지 저소득층을 위해 연탄 가격 인상은 절대로 안 된다”고 하소연했다.

연탄은행에 따르면 최근 3년 사이 연탄 가격은 무려 50.8%(300원)나 인상돼 현재 장당 800원이 넘는다. 배달료가 더해지면 고지대 달동네, 옥탑방, 농어촌산간벽지 등에 공급되는 연탄 가격은 900원이 넘는다고 연탄은행은 설명했다.

백사마을 주민들은 성명서에서 “우리에게 연탄은 소중한 생존 연료”라며 “계속되는 연탄 가격의 인상은 연탄 사용 가족들에게 깊은 한숨이 되어 돌아온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같은 노인도 연탄을 때고 싶어 때는 것이 아니다”면서 “밤마다 연탄불이 꺼질까 잠을 설치고 연탄불을 갈아야 하는 번거로움에도 연탄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처지를 이해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이 추운 겨울 우리같이 (가진 게) 없고 나이 많은 사람들도 살 수 있도록 연탄 가격 인상을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연탄은행은 ”연탄 가격 인상 동결과 에너지 빈곤층을 배려한 연탄 가격 이원제 도입을 위해 대국민 서명운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해 현재 5만명이 넘는 인원이 서명에 참여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마친 뒤 청와대에 연탄 가격 동결을 호소하는 편지를 전달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