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워요, 들개 잡아주세요” 늘어나는 ‘도심 들개’에 구청도 곤혹

“무서워요, 들개 잡아주세요” 늘어나는 ‘도심 들개’에 구청도 곤혹

신형철 기자
입력 2022-05-29 16:08
수정 2022-05-30 09: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거리두기 해제 후 다시 늘어난 들개 민원
 서울 은평구에 있는 백련산근린공원에 29일 ‘들개를 조심하라’는 내용의 현수막이 곳곳에 걸려 있다.
 서울 은평구에 있는 백련산근린공원에 29일 ‘들개를 조심하라’는 내용의 현수막이 곳곳에 걸려 있다. 신형철 기자
서울 은평구의 한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이모(57)씨는 최근 인근 야산의 공원을 산책하던 중 들개 떼를 만났다.

이씨는 29일 “집 바로 뒤에 있는 산에 올랐는데 강아지 네다섯 마리와 어미 개가 무리를 지어 있는 것을 목격하고 그대로 도망쳤다”며 “귀여운 강아지 같아 보여도 야성이 살아 있어 가까이하기 무섭다”고 토로했다.

이날 은평구 응암동 백련산에 가 보니 ‘이 지역은 들개가 출몰하는 지역이므로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안내문이 곳곳에 걸려 있었다.

최근 3년간 서울시의 들개 포획 건수를 보면 2019년 121마리에서 2020년 136마리, 지난해 163마리로 점차 늘어나고 있다. 주민들의 들개 출현 신고가 늘면서 각 자치구의 고충도 커지고 있다. 북한산과 백련산 등 산을 많이 낀 은평구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6개월간 들개 관련 민원만 총 60건이 접수됐다.

이처럼 최근 들개가 늘어난 배경에는 도심 재개발·재건축 사업과도 관련이 있다. 재개발 등으로 빈집과 함께 마을에 버려진 개가 점차 야생화되는 것이다. 처음에는 유기동물로 비교적 온순하던 개들은 2세, 3세로 번식하며 야생동물에 가까워진다.

하지만 들개를 유기동물로 보기도, 야생동물로 보기도 애매해 포획 후에도 처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현행법상 멧돼지처럼 ‘인가 주변에 출현해 사람에게 위해를 주거나 위해 우려가 있는 맹수류’는 야생동물로 지정돼 있지만 들개는 법에 따로 명시돼 있지 않아 대체로 유기견으로 취급하고 있다.

구에서는 들개 신고가 들어오면 일단 유기된 반려동물을 처리할 때와 같은 방식으로 포획 틀을 설치해 잡는다. 이 과정에서 “불쌍한 강아지를 왜 잡아가느냐”는 시민의 반발에 부딪히기도 한다.

한 지자체 공무원은 “포획 틀을 설치하면 왜 개를 괴롭히느냐며 치워버리는 주민도 있다”면서 “이 때문에 포획 틀을 산속에 깊이 숨겨 놓거나 매번 위치를 바꾸는 등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이렇게 포획한 들개는 유기 반려동물로 분류돼 동물보호센터로 보내진 뒤 일정 시간이 지날 때까지 주인이 나타나지 않거나 분양되지 않으면 안락사시키게 된다.

은평구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들개 포획 전담팀을 둘 정도로 들개 문제에 신경 쓰고 있다. 포획 틀 안의 먹이를 매일 갈아주고 번식을 막고자 중성화사업도 진행한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지난 7월 14일부터 시행된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주차요금 50% 감면’ 제도가 공영주차장에서 안내 부실과 표기 누락으로 제도 취지가 제대로 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이 발의한 ‘서울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개정안은, 기존 국가유공자와 독립유공자 본인에게만 적용되던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80%)을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에게까지 확대(50% 감면)한 내용이다. 지난 7월 14일부터 감면이 적용됐음에도 8월 8일까지 감면 혜택을 받은 유족이 전무해, 주요 공영주차장 감면 안내표시를 확인한 결과, 감면 내용이 게시되지 않았거나 매우 작은 글씨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시민들이 쉽게 인지하기 어려웠다. 지난 8월 12일 기준, 서울시 공영주차장 128개소 중 가장 큰 규모의 주차장 40개소를 확인하여 안내표지판에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요금 면’ 내용을 게시 조치했으나, 글씨가 작은 게시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서울시설공단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점검 대상 40개소 중 ‘독립유공자 본인 주차요금 감면 80%’ 표기가 누락된 곳이 20곳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공공기간 부설주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는 “재개발·재건축을 할 때 유기동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대책을 세우고 단독주택 마당개를 대상으로 중성화 사업을 진행해서 야생성을 갖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