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되는 핵가족… 30년 뒤 4가구 중 1가구는 부부끼리만 산다

붕괴되는 핵가족… 30년 뒤 4가구 중 1가구는 부부끼리만 산다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2-10-20 16:41
수정 2022-10-20 17: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2020~2050년 발표
2050년이면 1인 가구 비율 39.6%로 늘어
부부끼리만 사는 비율은 16.8%→23.3%로

앞으로 30년 뒤인 2050년이면 다섯 집 중 두 집 꼴로 가족 없이 혼자 사는 ‘1인 가구’(39.6%)가 될 전망이다. 자녀 없이 부부끼리만 사는 집의 비율도 20%를 넘어서면서 전통적인 대가족에 이어 공업화 이후 핵가족의 양상이 붕괴 위기에 처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에 사는 가구는 8년 뒤인 2030년을 기점으로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20일 발표한 ‘장래가구추계 시도편: 2020~2050년’ 자료에서 2050년 1인 가구 수는 906만 가구로 2020년 648만 가구에서 258만 가구(39.7%)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가구 대비 비중은 31.2%에서 39.6%로 8.4% 포인트 늘어난다. 30년 뒤 5가구 중 2가구가 1인 가구로 구성될 것이란 전망이다.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 비중은 2020년 22.4%에서 2050년 49.8%로 증가한다. 이 가운데 1인 가구 비중은 7.8%에서 20.4%로 확대된다. 1인 가구가 고령층을 중심으로 급증해 30년 뒤면 5가구 중 1가구가 독거노인 가구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가구주의 중위연령도 2020년 52.6세에서 2050년 64.9세로 12.3세 높아진다.

부부 한 쌍으로 구성된 가구는 2020년 348만 가구에서 2050년 534만 가구로 늘어난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8%에서 점점 늘어 23.3%로 확대된다. 친족이 아닌 남남으로 구성된 비친족 가구는 2020년 41만 1000가구(2.0%)에서 2050년 70만 3000가구(3.1%)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부부와 미혼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 비중은 2020년 29.3%에서 2050년 17.1%로 축소된다. 특히 세종(25.5%)·경기(20.4%)를 제외한 15개 시도 모두 20%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가구원 수도 대폭 감소한다. 전국 평균 가구원 수는 2020년 2.37명에서 2050년 1.91명으로 줄어든다. 세종 2.1명, 경기 2.0명을 제외한 전국 15개 시도의 평균 가구원이 2명도 채 안 될 전망이다.



우리나라 총 가구수는 2020년 기준 2073만 1000가구로 추산됐다. 가구수는 2039년에 2387가구로 정점을 찍은 이후 점점 줄어 2050년 2284만 9000가구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서울의 가구수는 2020년 395만 3000가구에서 2029년 412만 6000가구로 늘었다가 2030년부터 차츰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서울의 높은 집값에도 앞으로 8년 동안은 가구수가 계속 늘어날 것이란 의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