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평균 월세 지난해 12월 44만원 - 올 1월 62만원 39.8% 올라금리 인상 여파에 월세가 급등하면서 섬 학생들의 육지 생활비 부담이 커지고 있다.
17일 인천시 옹진군에 따르면 군은 섬 안에 학교가 없어 인근 대형 섬이나 육지에서 생활하는 중고생들에게 매월 월세 및 생활비를 지원하고 있다.
장봉도·신도·시도·모도 등 북도면에는 섬 안에 중·고교가 없어 학생들이 인근 국제도시인 영종신도시 내 학교로 통학해야 한다. 그러나 배를 타고 통학을 하는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2019년 부터 1가구 당 매월 20만원의 월세를 지원하고 있다. 또 관내 고등학교가 없어 관외로 진학한 고등학생에게는 월 40만원의 생활비도 지원한다. 2·8월 방학기간에는 지원하지 않는다.
사업 첫해에는 옹진군 인재육성재단이 직접 영종도 운서동 일대 아파트와 오피스텔을 빌려 기숙사로 활용하고 고교생 12명,중학생 6명 등 18명이 20만원씩 월세를 지원받았다.
이미지 확대
지난 해 6월 열린 ‘2022 청소년 평화·통일 캠프’ 모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 해 6월 열린 ‘2022 청소년 평화·통일 캠프’ 모습
2020년부터는 각 학부모가 자체적으로 아파트·오피스텔 등을 임차하면 옹진군이 같은 비용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바꿨다. 지난 해 12월말 현재 20만원씩 월세를 지원받은 중고생은 11명, 40만원씩 생활비를 지원받은 고등학생은 43명이다.
그러나 최근 금리 인상 여파로 전세의 월세 전환이 늘어나며 월세가 비싸져 학부모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현재 북도면 학생 대다수가 지내는 영종도 운서동 모 아파트 월세는 2019년 50만원대에서 올해는 70만∼75만원까지 올랐다. 국토교통부 전월세 실거래가 신고 자료에 따르면 인천의 평균 월세액은 지난해 12월 44만원에서 지난 1월 62만원으로 39.8% 올랐다.
이에 따라 올해로 4년째 동결된 섬 학생들의 월세 지원금을 좀 더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옹진군의원은 “거주지에 학교가 없어 어쩔 수 없이 육지로 통학해야 하는 섬 학생들의 고충과 물가 상승 추세를 고려해 지원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옹진군 관계자는 “월세 인상으로 부담이 크다며 지원금을 늘려달라는 요청은 몇 건 받았으나 아직 인상 여부가 결정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한상봉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