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들에게 물었다…“은퇴 후 의료취약지 근무하겠습니까?”

의사들에게 물었다…“은퇴 후 의료취약지 근무하겠습니까?”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3-07-13 14:11
수정 2023-07-13 14: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의사 3명 중 2명
“은퇴후 의료취약지 근무하겠다”

이미지 확대
13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지역필수의료 살리기 위한 대한의사협회 전문가 긴급 기자회견’에서 시니어의사-지역공공의료기관 매칭사업TF 백현욱 위원장이 은퇴 후 진로 관련설문조사 및 매칭사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13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지역필수의료 살리기 위한 대한의사협회 전문가 긴급 기자회견’에서 시니어의사-지역공공의료기관 매칭사업TF 백현욱 위원장이 은퇴 후 진로 관련설문조사 및 매칭사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직 의사의 60% 이상 은퇴 후 의료인력 부족 현상이 심각한 의료 취약지에서 근무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13일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은퇴 후 선생님의 진로 선택은?’이라는 주제로 지난달 14∼26일 협회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퇴직 후에도 진료를 계속하고 싶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2016명의 78.8%는 ‘하고 싶다’고 답했다.

현역 은퇴 연령은 몇살이 적당하냐는 질문엔 65∼69세(35.2%)→ 75세 이상(23.6%)→ 70∼74세(22.1%)→ 60∼64세(13.8%)→ 60세 미만(5.3%) 순으로 답했다. 은퇴 후 의료취약지에서 근무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63.1%는 ‘있다’고 답했다.

은퇴 후 국공립병원이나 지방의료원, 보건소 등 공공보건의료기관에 취업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77.0%가, 의료취약지 민간의료기관에 취업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67.9%가 ‘그렇다’고 답했다.

은퇴 후 다른 지역에서 근무하기 위해 거주지를 옮길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55.2%가 ‘있다’고 답했다.

수도권이 아닌 지방으로 근무지를 옮겨야 할 때 가장 힘든 점은 무엇이냐는 질문엔 응답자의 29.7%가 ‘가족과 떨어지는 것’이라고 답했고, 의료·인프라부족(16.2%), 사회관계 단절(16.1%), 여가·문화시설 부족(9.3%) 등이 뒤를 이었다.

은퇴 의사를 활용해 의사 증원 없이 일차의료와 공공의료 강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과반인 57.9%가 ‘가능하다’고 답했고, 24.3%는 ‘모르겠다’, 17.8%는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이필수 의협회장은 “지역필수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니어의사를 활용한 지역 공공병원 매칭 사업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