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아닌데도 ‘난 비만’…여성 28%의 착시

비만 아닌데도 ‘난 비만’…여성 28%의 착시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5-11-10 15:59
수정 2025-11-10 15: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실제 비만율 34%, 하지만 절반은 “나는 비만”
날씬함 강요하는 사회, 주관적 비만 인식에 영향
30~40대 남성 2명 중 1명 비만
지역별 비만율, 전남·제주 가장 높아

이미지 확대
AI이미지. 서울신문 DB
AI이미지. 서울신문 DB


‘실제 몸’보다 ‘느끼는 몸’이 더 무거웠다.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율(체질량지수 25 이상)은 34.4%이지만, 자신이 비만이라고 답한 비율은 54.9%에 달했다. 날씬한 몸매에 대한 사회·문화적 강박이 개인의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질병관리청이 5일 발표한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따르면 국내 성인 비만율은 10년 전(26.3%)보다 약 30.8% 증가했다. 남성 비만율은 41.4%, 여성은 23.0%였으며, 특히 30∼40대 남성은 각각 53.1%, 50.3%로 두 명 중 한 명꼴이었다.

체형 인식은 현실과 더 큰 괴리를 보였다. 실제 비만이 아닌데도 여성의 28.2%는 “나는 비만이다”라고 답했다. 같은 조건에서 남성은 13.0%였다. 같은 몸을 두고도 남성은 현실보다 가볍게, 여성은 더 무겁게 평가한 셈이다. 여성에게 요구되는 외모 기준과 사회적 기대가 남성보다 강하게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지역별 차이도 컸다. 전남과 제주 비만율이 36.8%로 가장 높았고, 세종은 29.1%로 가장 낮았다. 시·군·구 중에서는 충북 단양군(44.6%)과 경기 과천시(22.1%)가 각각 최고·최저였다. 지역별 비만율이 두 배 가까이 벌어진 것이다.

비만은 심혈관질환과 제2형 당뇨병, 뇌졸중 등 주요 만성질환과 연관된다. 여성의 경우 호르몬 변화로 유방암·자궁내막암 위험 증가와도 관련된다.



최근 비만치료제 사용이 급증하며 “약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졌지만, 질병관리청은 약물 의존을 경고했다. 질병관리청은 “식이 조절과 운동 없이 치료제에만 의존하면 영양결핍, 근육량 감소, 대사 이상이 생길 수 있다”며 “중단 후 체중이 다시 늘고 대사 상태가 더 나빠질 위험이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