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시내버스 파업…첫차부터 669대 멈췄다

창원 시내버스 파업…첫차부터 669대 멈췄다

이창언 기자
이창언 기자
입력 2025-05-28 08:51
수정 2025-05-28 08: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임단협 막판 협상 결렬...95% 운행 중단
시, 전세버스 등 투입 비상수송대책 가동

이미지 확대
시내버스 이미지. 서울신문DB
시내버스 이미지. 서울신문DB


경남 창원 시내버스 노사가 임금·단체협약 협상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28일 오전 5시 첫차부터 운행을 중단했다. 창원시내버스가 멈춘 건 2023년 파업 후 2년 만이다.

창원시내버스협의회와 창원시내버스노조는 이날 오전 3시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노사는 전날 오후 2시부터 경남지방노동위원회 2차 조정회의에 나섰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는 오전 5시 첫차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파업에는 시내버스 9개 사 버스기사 1600여명이 동참한다. 창원시는 전체 시내버스의 95% 상당에 달하는 669대가 운행을 하지 않는다.

노사는 지난해 12월 대법원 판결에 따른 정기 상여금의 통상임금 반영, 임금 8.2% 인상, 정년 63→65세 연장 등을 두고 접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갈등을 빚는 부분은 통상임금 부분이다. 사측은 통상임금 문제로 인건비 급증이 예상된다며 통상임금과 임금체계 개편을 함께 논의하자는 입장인 반면 노조는 통상임금과 임금협상은 분리해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창원시는 버스 파업으로 말미암은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비상수송대책을 즉각 시행했다.

시는 전 시민을 대상으로 안전 문자를 발송해 비상운송수단 이용을 안내했다. 비상수송대책 안내 콜센터(전화 225-3000)도 운영도 시작했다.

운행 준비를 마치고 대기 중이던 전세버스 170대와 관용버스 10대와 임차택시 330대는 운행을 시작했다. 전세버스와 관용버스는 무료로 이용 가능하며, 임차택시 요금은 1000원이다.

최호정 서울시회 의장,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 지방의회 컨퍼런스 개최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최호정 회장(서울시의회 의장)은 지난 19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에서 지방의회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는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간 지방시대위원회, 행정안전부, 산업통상부, 울산시 공동 주최로 열린다. 지방자치 및 균형발전을 주제로 한 26개 정책 컨퍼런스와 기관별 우수사례를 알리는 전시회가 운영된다. 이날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가 개최한 지방의회 컨퍼런스는 ‘민선지방자치 30주년, 지방의회가 나아갈 길’을 주제로 지방의회법 제정에 관한 사항을 논의했다. 최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올해는 민선 지방자치가 30주년을 맞는 특별한 해로, 30년간 지방의회는 주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지방정부의 민주적 운영을 이끌어내며 지역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정책으로 구현해왔다”라고 말했다. 이어 최 회장은 “그러나 지방의회가 해결해야 할 구조적인 과제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방의회법 제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는 국회 및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지방의회법 제정을 위해 앞장서겠다. 내년
thumbnail - 최호정 서울시회 의장,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 지방의회 컨퍼런스 개최

창원 시내버스 노사는 이날 오후 2시부터 협상테이블을 재가동해 대화를 이어갈 전망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