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 줄인 대학 11곳 중 9곳 정시 모집인원 절반도 못 채웠다

정부지원 줄인 대학 11곳 중 9곳 정시 모집인원 절반도 못 채웠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02-18 23:02
수정 2016-02-18 23: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교육부로부터 ‘재정지원 제한’ 대상으로 지정됐던 대학 11곳 중 9곳이 2016학년도 대학입시 정시 모집에서 신입생을 절반 이상 선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구조조정을 위한 정부의 조치가 수험생의 대학 선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18일부터 23일까지 149개 대학에서 모두 9262명을 추가 모집한다고 밝혔다. 일반전형은 139개 대학 6804명이다. 이 중 경주대, 한중대, 제주국제대, 서남대 등 11개 대학은 정시 모집 일반전형에서 정원의 절반 이상을 뽑지 못해 100~400여명 이상씩 대규모 추가 모집에 나선다.

11곳 중 9곳은 취업률 등 지표로 대학을 평가해 하위권 대학에 불이익을 주는 대학구조개혁 평가에서 최근 재정지원 제한 대학으로 선정됐던 곳이다. 2014, 2016년 지정된 경주대는 453명을 선발한 정시 모집에서 21명만 등록해 95.4%인 432명을 추가 모집한다. 2014, 2015년에 이어 2016년 재정지원 제한 대학인 한중대도 476명을 정시에서 모집했지만 90.3%인 430명을 추가로 뽑는다. 제주국제대는 303명 가운데 292명, 서남대는 658명 가운데 506명을 추가 모집한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수험생들이 정부 재정지원 제한 대학을 기피했다는 게 입시 결과로 드러난 것”이라고 말했다. 최종 모집 인원은 대학입학정보 홈페이지(univ.kcue.or.kr)와 개별 대학 홈페이지에 공고된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02-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