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후퇴한 한국… 공기질 180개국 중 173위

환경 후퇴한 한국… 공기질 180개국 중 173위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6-05-16 23:04
수정 2016-05-17 01: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0점 만점에 45.51점 최하위… ‘초미세먼지 노출’에선 174위

우리나라의 공기질 수준이 세계 최하위권으로 평가됐다. 겨울과 봄철 미세먼지 습격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서 환경성과지수가 갈수록 후퇴하고 국민 건강도 위협받고 있다.

16일 미국 예일대와 컬럼비아대 공동연구진이 발표한 ‘환경성과지수(EPI) 2016’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공기질 부문에서 100점 만점에 45.51점을 받았다. 전체 조사대상 180개국 중 173위다. EPI는 공기질·환경·기후변화·보건·농업 분야 등 20여개 항목을 활용해 국가별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다. 2년마다 세계경제포럼(WEF)을 통해 공표된다.

우리나라는 공기질의 세부 조사항목 중 초미세먼지 노출 정도에서 33.46점을 받아 174위로 평가됐다. 중국이 2.26점으로 꼴찌다. 이산화질소에 노출되는 정도는 ‘0점’으로 벨기에·네덜란드와 함께 공동 꼴찌였다. 이는 연구진이 설정한 기준연도인 1997년 대비 공기 중 이산화질소 농도 감축 노력을 전혀 인정받지 못했다는 의미다. 1997년 우리나라 공기 중 이산화질소 농도는 7.92ppb였는데 평가연도인 2011년에는 6.64ppb로 1.28ppb 감소하는 데 그쳤다.

환경위험 노출도를 나타내는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103위(65.93점), ‘기후와 에너지’는 83위(62.39점)로 집계됐다.

특히 기후와 에너지 부문에서 ‘전력사용 편의성’ 항목은 만점을 받았으나 ‘㎾당 이산화탄소 배출’은 48.47점으로 170위로 나타났다. 1㎾의 전력을 생산할 때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다는 의미다.

대기 중 탄소 비중인 ‘탄소농도 변화추이’는 68.61점으로 81위에 그쳤다.

20여개 평가지표 점수를 합산한 EPI 종합점수에서 우리나라는 70.61점을 받아 보츠와나(79위), 남아프리카공화국(81위)과 비슷한 수준인 80위를 차지했다. 2012년과 2014년 조사에서는 각각 43위로 2년 만에 순위가 대폭 하락하면서 환경성과가 후퇴한 것으로 평가됐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5-17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