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환자 매년 7.2%·80대 환자 8.3% 늘어

파킨슨병 환자 매년 7.2%·80대 환자 8.3% 늘어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5-11-08 17:52
수정 2015-11-08 2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건강보험공단 최근 5년간 분석결과, 여성이 60.8%… 70대 45.3% 가장 많아

근육이 굳어지고 떨리며 몸동작이 느려지는 파킨슨병 환자가 최근 5년간 연평균 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0대 이상 진료 인원이 늘면서 연평균 증가율도 덩달아 올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8일 최근 5년간(2010~2014년) 병원을 찾은 파킨슨병 환자를 분석한 결과 인구 10만명당 진료 인원이 매년 7.2% 증가하고 80대에서는 환자가 8.3%씩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병원 진료를 받은 파킨슨병 환자는 8만 4771명으로, 여성(60.8%)이 남성(39.2%)보다 많았다. 연령별로는 70대가 45.3%로 가장 많고 80세 이상 27.2%, 60대 18.4% 순이다. 60대 이상이 전체 환자의 90.9%를 차지했다.

1812년 영국의 의사 제임스 파킨슨이 처음 보고한 이 병은 뇌신경 전달 물질 중 하나인 도파민이 부족해 운동장애와 비운동 증상이 나타나는 퇴행성 질환이다. 도파민이 왜 부족해지는지는 아직 확실히 알려진 게 없다. 다만 가족력이 있고 50대 이전 젊은 나이에 파킨슨병이 발생했다면 유전일 가능성이 크다. 이 밖에도 환경적 요인, 독성 물질 등이 원인이라는 연구도 있다. 파킨슨병이 생기면 주로 떨림증, 근육의 강직, 행동 느림, 걸음걸이 장애, 균형장애, 인지장애, 우울증, 자율신경계 증상 등이 나타난다. 고령화로 우리나라도 최근 들어 환자가 크게 늘었다. ‘나이의 증가’가 가장 중요한 위험 요소이다 보니 확실한 예방법은 없다. 다만 커피나 카페인을 복용하면 도움이 된다는 몇몇 연구 결과는 나와 있다.

파킨슨병은 느리게 진행되는 병이다. 병 자체는 치명적이지 않으나 폐렴, 넘어짐으로 인한 합병증을 조심해야 한다. 대부분 환자는 수년간 약물치료를 하면서 일상생활을 한다. 적절한 약물치료, 운동 관리를 통해 환자 스스로 일상생활이 가능한 시점을 연장할 수 있다. 파킨슨병 환자에게 사용하는 약물은 병의 진행을 멈추거나 호전시키는 약이 아니라 증상을 조절하는 약이다. 환자의 연령, 활동 정도, 부작용을 고려해 약의 종류와 용량을 결정하기 때문에 신경과 전문의와 정기적으로 상담해 자신의 증상을 자세히 설명하고 약을 처방받아야 한다. 파킨슨병 치료제는 부족한 도파민 제제를 보충해 주는 것인데, 만약 환자가 도파민 전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을 복용하면 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다른 질병으로 진료를 받을 때는 자신이 파킨슨병 환자라는 사실을 밝혀야 한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11-0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