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대박 논란 휴가 후 첫 출근…연수원 측, 외부인 철저히 통제
내부 인원 언론 접촉 자제 당부연구과제 없이 연구위원 근무
檢 “모든 가능성 열어두고 수사”

진경준 검사장이 충북 진천의 법무연수원으로 출근한 7일 서울신문 취재 차량이 연수원 정문 차단기에 가로막혀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진 검사장은 이날 오전 9시쯤 연수원 본관 4층의 연구위원실로 정상 출근했다. 그가 출근한 뒤로 연수원 측은 철저히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했다. 교육 대상자에게만 개방되는 시설이라 평소에도 보안상 통제해 왔다는 설명이지만, 취재진의 높은 관심에 이날 오후부터 내부 관계자들에게 기자들과의 접촉 차단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 검사장도 외부로 나가지 않고 구내식당에서 식사를 해결했다. 연수원 관계자는 “진 검사장이 당분간 언론과 접촉하길 원하지 않아 진 검사장 연구위원실 전화도 다른 쪽으로 돌려 대신 받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진 검사장은 밝혀야 할 의혹들에 대해선 입을 굳게 다문 채 연수원의 보호 속에 차분한 일과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검찰 내부에서도 진 검사장에 대한 의혹은 흘러나오고 있다. 한 검찰 관계자는 “자신감이 넘치는 소위 ‘잘나가던’ 검사였기 때문에 돈 몇 푼 때문에 무리수를 두진 않았을 것이라고 본다”면서도 “하지만 의혹을 부인하지 않고 소명도 계속 달리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선 합리적 의심의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법조계 등에 따르면 연수원 측은 진 검사장이 전보 발령을 받은 지난달 23일 그에게 남은 병가 휴일 3일을 더 쓸지 물었다. 당시 진 검사장은 “병가를 더 쓰지 않고 바로 출근하겠다”고 알려 연수원에서 곧바로 그의 사무실을 마련했다. 당초 5명이던 연구위원은 진 검사장의 발령으로 6명으로 늘었다. 연구위원들은 모두 차장검사 이상으로 각종 과제를 부여받아 법무 연구와 포럼 등을 진행한다. 그러나 진 검사장은 아직까지 부여받은 연구과제가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법조계 관계자는 “진 검사장이 직위해제성으로 연수원에 왔기 때문에 언제까지 있을지 몰라 (연수원에서) 과제를 주지 않은 것으로 안다”면서 “법무부의 징계 결정에 따라 언제든 다시 짐을 싸서 나가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수원이 진 검사장에게 일종의 은신처 역할만 하고 있는 셈이다.
한편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 심우정)는 진 검사장이 이자 없이 넥슨의 자금을 대여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수뢰 후 부정처사’ 쪽으로 가닥을 잡고 수사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직무와 연관된 부정행위를 입증하는 부분이 쉽지만은 않아 고민 중”이라면서 “수사는 이제 시작이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철저히 조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 사진 진천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6-06-0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