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부회장은 재판부에 “죄송하다”고 말했지만 “대통령에게 뭔가 부탁하지는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미지 확대
7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결심공판을 마치고 호송차에 오르고 있다. 2017. 8. 7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7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결심공판을 마치고 호송차에 오르고 있다. 2017. 8. 7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7일 오후 3시 23분 서울 서초구 서울법원종합청사 311호 법정에서 이 부회장이 최후진술을 위해 입을 열었다. 1심에서 자신의 혐의에 관해 공개 법정에서 말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다.
이 부회장은 “구속 수감된 지난 6개월 동안 답답하고 억울한 마음도 없지 않았지만, 저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로 만들어 보려 노력했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어 “재판을 지켜보며 복잡한 법적 논리를 이해하기 어려웠고 공소사실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지만 한 가지 깨달은 것은 제가 너무 부족한 점이 많았고, 챙겨야 할 것을 챙기지 못했고, 모두 제 탓이라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이어 “오늘의 삼성이 있기까지 모든 임직원, 많은 선배님의 피땀이 없이는 안 됐을 것”이라고 말한 뒤 “창업자인 선대 회장님…”을 언급하다 목이 멘 듯 잠시 말을 잇지 못하고 울먹였다.
이후에도 이 부회장은 5분여 동안 이어진 짧은 최후진술 시간 동안 수차례 울먹이며 말을 멈췄다. 그때마다 재판부에 “죄송하다”며 스스로 진정시키려는 듯 종이컵에 든 물을 마시는 모습도 보였다.
이 부회장은 손짓으로 자신을 가리키며 “저의 사익을 위해서나 개인을 위해 대통령에게 뭔가 부탁하거나 그런 기대를 하며 결코”라고 강조했다.
또 “제가 아무리 못난 놈이라도 서민의 노후 자금인 국민연금에 손해를 끼치고 그런 욕심을 내겠습니까”라며 “너무나 심한 오해이고 너무 억울하다. 이 오해가 안 풀리면 저는 앞으로 삼성을 대표하는 기업인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의 진술을 듣던 한 여성 방청객은 “힘내라”고 소리쳤다가 퇴정 조치를 당하기도 했다.
미래전략실 최지성 전 실장은 “책임을 묻는다면 늙어 판단력이 흐려진 제게 물어 달라”고 했고, 장충기 전 차장은 “뼈저리게 반성하고 후회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박상진 전 사장과 황성수 전 전무는 “(승마 지원이) 대가를 바라고 한 일이 아니었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