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뇌의 피질 아래 변연계는 감정과 정서를 담당하는 부분이다. 사람의 감정을 빨리 알아차리고 사람과 가장 가까운 동물인 개는 부정적 감정과 긍정적 감정을 처리하는 뇌 부위가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AP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AP 제공
이탈리아 바리알도모로대 동물생명윤리 및 행동과학부 수의과학과 연구팀은 개들이 인간의 감정을 처리하기 위해 뇌의 다양한 부분을 동시에 사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동물행동학 분야 국제학술지 ‘학습과 행동’ 20일자에 실렸다.
개는 인류가 시작되면서 가장 먼저 가축화된 동물로 사람들과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키워온 것으로 과학자들은 파악하고 있다. 특히 개의 뇌는 사람의 목소리, 체취, 자세에 포함된 감정적 단서를 포착하고 얼굴의 표정도 읽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26마리의 개에게 먹이를 주면서 다양한 표정의 성인남녀 사진을 보여준 뒤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뇌파를 분석했다. 연구팀이 개들에게 보여준 사진은 분노, 공포, 행복, 슬픔, 놀라움, 혐오, 무표정 6가지 감정을 드러내는 것들이었다.
그 결과 개들은 분노, 공포, 행복감처럼 격한 감정을 드러내는 사진을 보면 머리를 왼쪽으로 돌리고 놀란 표정의 사진을 보면 머리를 오른쪽으로 돌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람의 감정상태에 따라 정보를 처리하는 곳이 오른쪽 반구와 왼쪽 반구로 나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격정적 감정이라고 파악될 경우 개들은 심장박동수는 증가하고 과잉행동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감정을 접한 개들은 다시 음식에 관심을 갖는데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르첼로 시니스칼라치 수의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부정적 감정은 개의 뇌 오른쪽에서, 긍정적 감정들은 왼쪽 뇌에서 처리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라며 “이번 연구는 개 뿐만 아니라 다른 포유동물의 행동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