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프로축구단 사장으로부터 거액의 뒷돈을 받고 유리한 판정을 내린 혐의로 2명의 심판을 구속하면서 또다시 축구계가 술렁이고 있다.
2011년 한국 축구계를 위기로 몰았던 ‘승부조작’ 사건이 가장 공정해야 할 심판에게까지 번진 게 아니냐는 걱정스러운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편으로는 그동안 쉬쉬하며 감춰져 왔던 심판과 구단의 ‘검은 거래설’이 마침내 곪아서 터져 나온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부산지검 외사부(부장검사 김성문)는 19일 외국인 선수 계약금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기소된 안종복(59) 전 경남 FC 사장에게 유리한 판정을 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수천만 원을 받은 혐의(국민체육진흥법 위반)로 프로축구 심판 최모(39) 씨와 이모(36)씨를 구속했다.
검찰은 앞서 프로축구 심판 5명을 소환해 조사를 펼쳤고, 최모씨와 이모씨의 범죄 혐의가 소명되고 도주 및 증거 인멸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최씨와 이씨는 2013∼2014년에 걸쳐 경남FC의 2부리그 강등을 막기위해 안 전 사장에게 각각 수천만 원을 받고 구단에 유리한 판정을 내린 혐의를 받고 있다.
프로축구 심판이 구단의 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것은 K리그 사상 초유의 일이라서 한국프로축구연맹과 대한축구협회도 승부조작의 망령이 되살아나지 않을까 걱정하며 검찰의 수사 방향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미 2011년 국가대표급 선수들까지 포함된 승부조작 사건으로 곤욕을 치른 터라 프로연맹과 축구협회는 이번 사건이 다시 승부조작으로 번질 조짐을 보여 노심초사하고 있다.
프로축구연맹은 검찰의 요구에 따라 소환됐던 심판들이 나선 경기를 모두 재분석했다. 하지만 이들 심판이 나선 경기에서 의도적으로 판정을 왜곡한 정황은 특정해서 찾아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전 사장이 심판에게 돈을 줬다고 주장하는 2013년에 경남FC는 2부리그 강등을 면했지만 2014년에는 2부리그로 추락했다.
프로연맹은 “구속된 심판들에 대해선 검찰의 수사 결과에 따라 상벌위원회를 열어 ‘무관용 원칙’으로 영구자격정지 등 단호하게 대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축구계에서는 심판이 구단으로부터 돈을 받았다는 사실이 수사를 통해 밝혀졌다는 자체가 충격이라는 반응이다.
이번처럼 금품수수가 밝혀진 사안은 처음이지만 이전에도 심판과 관련된 여러 사건이 벌어져 빈축을 산 일이 많다.
지난 2013년 12월에는 축구협회 심판위원장이 심판 체력테스트에서 특정 심판을 비호했다는 의혹을 받고 권고사직을 당했고, 지난해에는 한 프로축구 심판이 구단 관계자와 식사를 했다는 소문이 퍼져 전임심판 자리를 내놓은 사건도 벌어졌다.
이에 대해 축구협회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구단과 심판의 유착을 놓고 여러 가지 말이 돌았던 것은 사실이었지만 대부분 정확한 물증이 없어 흐지부지됐었다”며 “이 때문에 축구협회도 구설에 오른 ‘문제 심판’들을 축구판에서 내보내는 데 주력해왔다”고 귀띔했다.
그는 “이번 사건은 사실상 축구계에 방치됐던 가장 어두운 면이 곪아서 터져 나온 꼴”이라며 “실제로 이번에 구속된 심판들이 승부조작을 했다는 방향으로 수사결과가 나오면 또 한 번 국내 축구계가 큰 충격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걱정했다.
연합뉴스
2011년 한국 축구계를 위기로 몰았던 ‘승부조작’ 사건이 가장 공정해야 할 심판에게까지 번진 게 아니냐는 걱정스러운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편으로는 그동안 쉬쉬하며 감춰져 왔던 심판과 구단의 ‘검은 거래설’이 마침내 곪아서 터져 나온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부산지검 외사부(부장검사 김성문)는 19일 외국인 선수 계약금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기소된 안종복(59) 전 경남 FC 사장에게 유리한 판정을 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수천만 원을 받은 혐의(국민체육진흥법 위반)로 프로축구 심판 최모(39) 씨와 이모(36)씨를 구속했다.
검찰은 앞서 프로축구 심판 5명을 소환해 조사를 펼쳤고, 최모씨와 이모씨의 범죄 혐의가 소명되고 도주 및 증거 인멸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최씨와 이씨는 2013∼2014년에 걸쳐 경남FC의 2부리그 강등을 막기위해 안 전 사장에게 각각 수천만 원을 받고 구단에 유리한 판정을 내린 혐의를 받고 있다.
프로축구 심판이 구단의 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것은 K리그 사상 초유의 일이라서 한국프로축구연맹과 대한축구협회도 승부조작의 망령이 되살아나지 않을까 걱정하며 검찰의 수사 방향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미 2011년 국가대표급 선수들까지 포함된 승부조작 사건으로 곤욕을 치른 터라 프로연맹과 축구협회는 이번 사건이 다시 승부조작으로 번질 조짐을 보여 노심초사하고 있다.
프로축구연맹은 검찰의 요구에 따라 소환됐던 심판들이 나선 경기를 모두 재분석했다. 하지만 이들 심판이 나선 경기에서 의도적으로 판정을 왜곡한 정황은 특정해서 찾아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전 사장이 심판에게 돈을 줬다고 주장하는 2013년에 경남FC는 2부리그 강등을 면했지만 2014년에는 2부리그로 추락했다.
프로연맹은 “구속된 심판들에 대해선 검찰의 수사 결과에 따라 상벌위원회를 열어 ‘무관용 원칙’으로 영구자격정지 등 단호하게 대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축구계에서는 심판이 구단으로부터 돈을 받았다는 사실이 수사를 통해 밝혀졌다는 자체가 충격이라는 반응이다.
이번처럼 금품수수가 밝혀진 사안은 처음이지만 이전에도 심판과 관련된 여러 사건이 벌어져 빈축을 산 일이 많다.
지난 2013년 12월에는 축구협회 심판위원장이 심판 체력테스트에서 특정 심판을 비호했다는 의혹을 받고 권고사직을 당했고, 지난해에는 한 프로축구 심판이 구단 관계자와 식사를 했다는 소문이 퍼져 전임심판 자리를 내놓은 사건도 벌어졌다.
이에 대해 축구협회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구단과 심판의 유착을 놓고 여러 가지 말이 돌았던 것은 사실이었지만 대부분 정확한 물증이 없어 흐지부지됐었다”며 “이 때문에 축구협회도 구설에 오른 ‘문제 심판’들을 축구판에서 내보내는 데 주력해왔다”고 귀띔했다.
그는 “이번 사건은 사실상 축구계에 방치됐던 가장 어두운 면이 곪아서 터져 나온 꼴”이라며 “실제로 이번에 구속된 심판들이 승부조작을 했다는 방향으로 수사결과가 나오면 또 한 번 국내 축구계가 큰 충격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걱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