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25)골프공의 날개 딤플

[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25)골프공의 날개 딤플

최병규 기자
입력 2015-12-01 23:16
수정 2015-12-02 0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이 받는 저항 줄여주는 홈… 개수보다 대칭·면적이 관건

골프공을 더 멀리 날게 하는 딤플은 적으면 탈이지만 많아도 독이 된다.

초기 골프공은 ‘구타페르카’(열대식물의 수액에 포함된 천연수지)로 만든 딤플이 없는 매끄러운 형태였다. 그러나 우연히 표면에 흠집이 난 공이 더 멀리 날아간다는 사실을 발견한 뒤 곰보 모양의 딤플이 탄생하게 됐다. 골프공의 역사는 곧 딤플의 역사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딤플의 과학적 원리는 공기역학과 밀접한데 비행하는 공 표면을 지나는 공기에 난류를 발생시킨 뒤 비행 방향의 반대편 뒤에서 발생하는 항력의 양을 줄여 더 멀리 날 수 있게 한다는 게 핵심이다. 딤플이 많으면 많을수록 골프공 표면을 접촉하는 공기의 양이 늘게 되고, 더 많은 난류로 인해 공기저항은 적어지는 것이다.

골프공의 딤플 개수는 400개 안팎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개수가 1000개를 넘는 공도 만들어졌다. 그렇다면 무작정 딤플이 많다고 좋은 공일까. 딤플의 개수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딤플이 공 표면의 전체 면적 가운데 얼마를 차지하느냐(커버리지), 그리고 대칭축(접합선)을 기준으로 양쪽이 똑같은 모양의 디자인(패턴)을 갖고 있느냐 여부다.

딤플을 아무렇게나 채워 넣게 되면 골프공이 비행할 때 접합면을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에 영향을 줘 다른 공기의 간섭 또는 저항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공의 탄도 역시 예측할 수 없게 된다. 반면 딤플 커버리지가 높고 골프공의 대칭축을 중심으로 접합면 양쪽이 똑같은 패턴을 갖게 되면 비거리와 방향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충족시키게 된다.

이 둘을 만족시키는 게 골프공 제조 공정의 기술이다. 딤플 커버리지가 늘어나면 축은 줄어들고, 반대로 축이 늘어나면 커버리지가 줄어든다. 이 때문에 딤플의 개수나 크기를 정하고 최적화된 패턴을 디자인하는 건 물론 코어를 둘러싸는 2~5겹의 커버를 입히는 과정에서 비대칭적인 공간이 생기는 것을 가능한 한 최소화하는 게 골프공 제조업체들의 가장 큰 고민이다.



cbk91065@seoul.co.kr
2015-12-0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