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아들 우 모씨가 경찰 운전병 특혜 선발 의혹을 받는 가운데, 운전병으로 제대로 근무한 날이 사실상 한 달에 13일밖에 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13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등 16회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17.10.13.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13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등 16회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2017.10.13.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1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박남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지방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차량 운행일지에 따르면 우씨가 서울지방경찰청 차장실로 전입한 지난해 1월부터 전역 전날인 11월 24일까지 329일 중 그가 외출한 날을 뺀 ‘풀타임’ 근무일은 138일이었다. 한 달로 따지면 평균 13일만 일한 셈이다.
우씨가 운행일지에 운전자로 기재된 날은 운전병 복무 기간의 절반 정도인 171일에 불과했다. 이 중에 33일은 우씨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인 외출을 다녀왔는데도 운전자로 기재돼 있었다.
점심·낮에 차량이 운행됐는데 외출을 나간 우씨의 이름이 운전자로 기재된 날도 17일이나 됐다.
박 의원은 “서울청은 ‘우씨가 외출을 다녀와서 운전을 했다’고 해명했지만, 차량 입고 시각이 오후 7∼8시가 많아 운전할 수 있는 상황으로 보기 어렵고, 설사 운전을 했다 하더라도 1∼2시간에 불과해 당일 운전자로 기재한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고 주장했다.
또 “운전병이 운전 업무를 하지 않는 날은 행정업무를 봐야 하지만, 우씨가 근무한 차장 부속실은 별도로 행정병이 한 명 배치돼있어 행정업무에 대한 부담도 적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우씨는 다리부상으로 약 20일간 입원한 전력이 있는데도 퇴원 뒤 한 달이 채 되지 않아 운전병 선발 대상자로 선정된 사실도 드러났다.
박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2월 26일에 입대한 우씨는 자대 배치 다음 날인 4월 16일부터 19일간 경찰병원에서 다리 힘줄에 생긴 염증 치료를 받았다. 이어 6월 초 운전병 선발 대상자가 돼 운전 테스트를 받았다.
박 의원은 “보름 이상 입원했다면 가벼운 부상은 아니었다는 의미인데, 회복 기간에 부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운전병에 지원하고 선발되는 것은 통상적인 경우로 보기 힘들다”면서 “서울청이 선발 과정에서 부상 사실을 사전에 인지했는지, 우씨가 이를 숨기고 지원했는지 규명돼야 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