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살 땐 ‘과시’, 일상복엔 ‘실속’ 소비

명품 살 땐 ‘과시’, 일상복엔 ‘실속’ 소비

입력 2011-05-22 00:00
수정 2011-05-22 10: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눈에 브랜드를 알아볼 수 있는 가방이나 아웃도어 의류를 살 때는 명품이나 고가 제품을 고르고, 브랜드 식별이 어려운 보통 의류를 살 때는 중저가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이 올 1~4월 세부 상품군별 작년 동기 대비 매출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해외명품 중 루이뷔통, 샤넬, 구찌 등 고가 브랜드로 구성된 ‘명품 부티크’ 상품군은 46.6%에 달했다.

’명품 시계·보석’ 상품군은 43.2%였다.

이는 ‘명품 부티크’보다 저렴한 브랜드인 코치, 발리, 몽블랑 등이 포함된 ‘명품 잡화’의 26.7%, 명품이 아닌 가방 브랜드 루이까토즈, 메트로시티 등으로 구성된 ‘핸드백’의 26.1%를 훨씬 앞지르는 수치다.

옷에 로고가 선명히 박혀 쉽게 브랜드를 알아챌 수 있는 ‘아웃도어’는 46.7%로 매출 증가율 1위 상품군 자리를 꿰찼다.

그러나 일반 패션·의류는 저렴한 가격대의 브랜드일수록 더 잘 나갔다.

여성패션에서 저가 상품이 많은 ‘영 트렌디’ 상품군의 증가율은 43.6%, 중가 상품이 많은 ‘영 밸류’ 상품군은 29.4%였다.

’영 트렌디’는 자라, 유니클로 같은 해외 SPA(제조·유통 일괄화 의류) 브랜드와 코데즈콤바인, 르샵 등 국내 패스트패션 브랜드를, ‘영 밸류’는 잇미샤, 라인, 리스트 등 중가 캐주얼 브랜드를 포함한다.

이들 상품군의 매출 증가율은 전체 여성패션의 증가율(19.2%)뿐 아니라 DKNY, 질스튜어트, 마크 바이 마크제이콥스 등 여성패션 중 고가 브랜드가 많은 ‘컨템포러리’ 상품군(20%)를 앞질렀다.

남성패션에서도 가격대가 ‘남성 정장’ 상품군의 60% 수준인 ‘남성 트렌디’ 상품군의 매출 증가율이 31.6%로, 전체 남성패션의 증가율 18.6%를 크게 웃돌았다.

이에 대해 롯데백화점은 남의 눈에 잘 띄는 가방이나 시계 등을 살 때는 누구나 알 만한 브랜드를 고르는 과시형 소비가, 일상복을 살 때는 합리적인 가격대를 중시하는 실속형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했다.

이 백화점 관계자는 “브랜드를 식별할 수 있는 상품군일수록 고가 브랜드가 잘 나간다”며 “명품관인 에비뉴엘 시계 매장만 봐도 1억원 이상 시계가 월평균 2~3개, 1천만원 이상 시계가 150개 이상 팔린다”고 전했다.

40~50대가 나이보다 젊어 보이려는 욕구를 드러내면서 정통 정장 브랜드보다 유행을 빨리 반영한 영캐주얼 브랜드를 선택하는 경우가 증가한 것도 하나의 요인이다.

올 1~4월 구매 고객 가운데 40대 이상의 비중이 46.8%로 작년보다 2%포인트 늘었고 29세 이하 비중은 21.2%로 1.9%포인트 줄었음에도 젊은 세대를 겨냥한 영캐주얼 브랜드가 더 잘 나가는 것은 40대 이상이 선호 브랜드를 바꿨음을 보여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