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싼 휴대폰은 개인정보유출 미끼” 주의보

“너무 싼 휴대폰은 개인정보유출 미끼” 주의보

입력 2012-11-15 00:00
수정 2012-11-15 08: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휴대전화를 싸게 파는 척하면서 소비자의 개인정보만 훔쳐가는 사례가 늘고 있어 정부와 업계가 ‘주의보’를 발령했다.

1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인터넷으로 이동전화에 가입하려는 사람들에게 ‘가짜 가입신청서’를 쓰도록 해 개인정보를 빼 가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피해자들의 민원도 급증하고 있다.

소비자의 주민등록번호와 계좌번호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빼 가기만 하고 실제로는 휴대전화를 팔지 않는 소위 ‘먹튀’ 사기가 빈번하다는 것이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명의도용 등 2차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피해 사례는 인터넷 오픈마켓, 카페, 공동구매 사이트 등 상대적으로 가격 조건이 좋은 판매처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금이라도 싼 가격에 휴대전화를 사려는 소비자들을 노린 것으로 분석된다.

SK텔레콤·KT·LG유플러스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행정지도에 따라 최근 홈페이지 등을 통해 이를 적극적으로 알리면서 소비자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이통사들은 “인터넷 판매처에서 이동전화에 가입할 때 각사의 공식 온라인 가입신청서와 양식이 같은지 비교·확인해야 한다”며 “가짜 가입신청서로 발생한 피해는 보상을 받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공식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개인정보를 암호화해 안전하게 보호한다고 설명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17만원 갤럭시S3’가 등장하는 등 보조금 경쟁이 치열해진 이후로 개인정보 유출 및 명의도용 피해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이 통신시장 과열 경쟁과도 관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통사의 한 관계자는 “소중한 개인정보인 만큼 신뢰할 수 있는 판매처인지 고객들도 스스로 꼼꼼히 점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