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밥 두 공기도 안먹는데 한국인 주식 뭐라고 말하지?

하루 밥 두 공기도 안먹는데 한국인 주식 뭐라고 말하지?

입력 2013-02-01 00:00
수정 2013-02-01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인당 쌀 소비 年 70㎏ 붕괴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70㎏ 밑으로 떨어졌다. 하루 분량으로 따지면 두 공기도 되지 않았다.

통계청이 31일 내놓은 ‘2012 양곡소비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구 부문 1인당 쌀 소비량은 69.8㎏으로 전년(71.2㎏)보다 2.0%(1.4㎏) 감소했다. 하루 쌀 소비량은 191.3g으로 밥 한 공기(약 130g)를 조금 넘는 수준이다.

쌀 소비량은 1984년(130㎏) 이후 28년째 하락세다. 가구 부문 소비량에는 사업체 소비량이나 군대·교도소 등 집단시설 소비량은 포함되지 않는다. 박경애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시리얼 등 대체식품과 즉석가공식품 등의 다양화로 식생활이 간편해지면서 쌀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고 분석했다.

밥을 잘 안 먹는 건 생산자인 농가도 마찬가지다. 2003년 농가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135.4㎏으로 비(非)농가보다 56.4㎏ 많았다.

1년 중 쌀 소비량이 가장 많은 달은 설을 앞둔 1월로 나타났다. 지난해 1월 1일 쌀소비량은 203.3g으로 평균(191.3g)보다 12g 많았다. “설에 떡국을 먹는 풍습 때문”이라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사업체 부문 쌀 소비량은 57만 712t으로 전년(64만 5927t)보다 11.6% 급감했다. 박 과장은 “감소량의 대부분(9만 5930t)이 술 제조업체에서 발생했다”면서 “주류 원가를 줄이기 위해 업체들이 쌀보다 저렴한 타피오카(식용 녹말)를 사용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세종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3-02-0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