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덕 국민은행장은 1일 2분기 조회사에서 “한국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 구글 같은 혁신·창조 기업이 생길 수 있도록 KB의 창조금융이 이를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은행은 앞서 지난달 25일 은행장을 위원장으로 한 ‘창조금융추진위원회’도 만들었다. ‘창조경제를 기반으로 한 지속성장 및 일자리 창출정책 뒷받침’이 위원회 신설 배경이다. 이를 두고 은행권은 ‘넘치는 창조 사랑’이라며 뒤에서 쑤군댔다.
그랬던 은행들이 언제 그랬냐는 듯 ‘따라하기’에 나섰다. 서진원 신한은행장은 같은 날 2분기 조회사에서 “창조 경제 구현에 대한 은행의 사회적 역할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창조’를 꺼내들었다. 창조의 의미를 ‘아이디어’에 둔 민 행장과 달리 서 행장은 ‘사회적 책임’에 방점을 찍었다.
김종준 하나은행장은 2분기 조회사에서 ‘금융 소비자 보호’를 재차 들고 나왔다. 금융 소비자 보호 또한 창조 못지않게 새 정부의 핵심 화두다. 은행권이 지나치게 ‘정권 코드 맞추기’를 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시중은행들은 박근혜 대통령이 ‘금융 소비자 보호’를 언급하자 올 초 신년사에서 너나 할 것 없이 금융 소비자 보호를 강조했다. ‘중소기업의 손톱 밑 가시 빼기’를 강조했을 때는 앞다퉈 중소기업 관련 금융상품을 출시했다.
한 금융지주사 부사장은 “은행이 갑이라는 인식들이 강해 정권 초에는 으레 ‘금융 손보기’가 이뤄졌다”면서 “이런 과거의 아픈 경험 때문에 (금융권이) 알아서 비위를 맞출 수밖에 없다”고 속내를 털어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정권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것은 사실이지만 의미도 불분명한 창조에 우르르 몰려가는 모양새가 보기 좋지만은 않다”고 꼬집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3-04-0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